The U.S. 23rd RCT Patrols at Chipyong-ni during 1-11 Feb. 1951 : 미 23연대 지평리 지구 정찰에 기록
나와 집사람은 아래 지역을 탐방하기 위해 2021.7.24(토) 지평리에서 500m 푯대봉 밑에서 시작하는 342번 비포장 임도를 따라 고송1리까지 6km 구간을 차량으로 넘어서 2시간에 걸쳐 고송1리 마을회관에 도착했다. 편도이며 임도로서 비포장 도로였고 넘어가는 길 우측은 낭떠러지도 있어서 운전하기 힘들었으나 내 SM5 차량이 능력을 발휘해 주어서 잘 넘어 갈 수 있었다. 오후 2시에서 4시 사이에 주행했는데 처음 조우한 것은 SUV였고 다음은 승용차였다. 그래도 상대편 차량이 길을 어렵게 비껴 주어서 문제가 없었다. 이번에 탐방한 길은 지평전투 때 횡성으로 부터 진군한 중공군의 주력이 이동한 경로로서 당시부터 현재까지 임도형태의 도로이며 지평에서 본다면 물왕리매립장부터 시작되어 산길넘어 상고송리 고개까지이다. This is my story to explore the Kosong-ni near Chipyong-ni where a large forces of Chinese were prevailed during Feb. 1951. I had drove for two hours to pass the Pyodae peak in the one lane small unpaved road(#432) on the date of 24 Jul. 1951. The road we took on my car was a route along which a large forces of Chinese move on foots with carts driven by horses from Hoesong. It has been formed near Mulwang-ri landfill site, to Chipyong side, for deforest purpose since then and linked to Sanggosong-ri valley over the tough mountain hills.
지평전투 전야 인용자료 (Excerpt from Billy Mossman’s, Ebb and Flow, November 1950-July 1951)
지평리에 진군한 미 2사단 23연대에 가장 가까이 있는 부대는 남서쪽으로 18Km 떨어져 있었다. 지평리에 주둔한 후 Freeman 연대장은 지평리 북측, 서측 및 동측으로 정찰대를 내 보냈다.
1951.2.1-5 정찰대는 중공군과 대적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2.6 이 후 마을로부터 동측으로 4Km 떨어진 363고지 지점에서 중공군과 접전이 벌어졌다. 2.7 연대장은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2대대를 다시 내 보냈다. 정찰부대는 상고송리에서 대규모 중공군과 교전을 한 후 철수하였다. 2.7-11 마을로부터 동측으로 11Km 떨어진 444고지 부근에서 대규모 중공군이 파악되었다. 연대장은 다시 정찰대를 내 보냈고 동시에 여주에서 진군한 9연대 1대대가 정찰에 합류하였다. 1대대는 고지를 점령하였고 지평리 전투 시 가장 23연대에 가까이 주둔한 부대가 되었다. The
nearest of the 2d Division defenses around Chip’yong-ni stood twelve miles to
the southwest. After securing Chip’yong-ni, the 23d Infantry had established a
perimeter around the town, and Colonel Freeman had run patrols east, west, and
north. Between 1 and 5 February, the patrol encounters with enemy forces were
mostly minor. Then on 6 February, an Easy Company patrol had a stiff fight with
the enemy on Hill 363 about 4 kilometers east of the village. On 7 February,
Freeman sent the 2d Battalion to the same area to development the situation.
That patrol also withdrew after getting into a fight with a large enemy force
near Sanggosong. Between 7 and 11 February one particularly strong position was
discovered on Hill 444 some 11 kilometers east of Chip’yong-ni. Freeman sent a
battalion east, and the 1st Battalion, 9th Infantry, came north from the Yoju
area to reduce the enemy strongpoint. The latter battalion occupied the height
on the 11th and thus held the 2d Division position closest to the ROK 8th
Division.
원주와 지평리 동쪽 444고지 사이로 중공군이 침투하는 것이 파악되었다. 1951.2.12
9연대 1대대는 중공군 2개 대대의 공격을 받고 444고지로부터 철수하여 원주의 북서쪽 지점(양동으로 추정)으로 철수하였다. 항공정찰을 통해 지평리와 원주 공백으로 중공군이 침투해 들어 오고 일부 병력은 주암리에 있는 미 2사단 정찰중대를 향해 이동하는 것이 파악되었다. 이에 미 2사단장은 9연대 L중대를 출동시켜 정찰중대에 합류하게 하였고 북서측으로부터 중공군의 공격을 받았다. 그러나 중공군들은 오후 늦게 공격을 멈추고 철수하여 지평리를 포위하고자 이동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Indications
that the Chinese would exploit the gap between Wonju and Hill 444 already had
appeared, the first on 12 February when the 1st Battalion of the 9th Infantry,
then holding Hill 444, received an attack by two Chinese battalions and
withdrew to its present position northwest of Wonju. Air observers noted other
Chinese movements toward the gap during the morning of the 13th, some toward
the 2d Division reconnaissance company east of Chuam-ni. At General Ruffner’s
direction, Company L of the 9th Infantry reinforced the reconnaissance company
around noon, arriving just ahead of an attack from the northeast. When the
Chinese pulled away late in the afternoon and moved north in an apparent
attempt to encircle the blocking force,
미 2사단장은 이 정찰중대 병력을 주암리로 이동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중공군은 주 보급로인 도로를 최소한 3Km 정도 차단하여 23연대를 포위하였다. 대체 보급로로 사용할 수 있는 도로는 미 9군단 관할하에 있었는데 남한강에 연하여 나 있었다. 1951.2.12 중공군은 지평리 서쪽으로 우회하여 곡수리에 있던 미 24사단 전초를 몰아 내고 대체 보급로도 역시 차단하였다. Ruffner ordered the two companies
west into a new blocking position on Route 24 at Chuam-ni. The Chinese, now at
least within two miles of Route 24, probably would cut the 23d Regimental
Combat Team’s main supply route. An alternative arterial road, Route 24A, lay
nearer the Han, its lower segment resting in the IX Corps sector. But on the
12th Chinese had skirted the Chip’yong-ni position on the west and driven off a
24th Division outpost on the alternate route at Koksu-ri, four miles south of
Chip’yong-ni. Route 24A was now likely blocked.
Ridgway 장군은 중공군이 횡성 서측과 남측으로 돌격하여 남한강을 따라 서부전선 한강 이남에 있는 1군단 및 9군단을 공격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리고 지평리와 원주사이로 침투에 대비하여 한강 남쪽 전선에서 중공군 거점(남한산과 양자산 지역으로 추정)에 접하지 않은 국군 6사단 영연방 27여단을 여주와 지평리 남측 방어선으로 출동시켰다. 따라서 장군의 생각은 지평리는 남한강으로 진격해 올 수 있는 거점으로서 지평리는 반드시 사수되어야 했다. Working against Ridgway’s intention was an increased likelihood that the Chinese now in and west of Hoengsong would attempt to enter the Han valley and envelop his western forces. A 23d Regimental Combat Team withdrawal from Chip’yong-ni would remove a principle strongpoint blocking Chinese access to the valley. Ridgway therefore wanted Chip’yong-ni held, and so instructed General Almond. Next, in countermove against a possible Chinese sweep through the gap between Chip’yong-ni and Wonju, Ridgway reached for two IX Corps units not engaged at the enemy bridgehead below the Han. He ordered General Moore to move the ROK 6th Division and the British 27th Brigade to Yoju, where they were to pass to X Corps control and be deployed in the gap.” A 23d Regimental Combat Team withdrawal from Chip’yong-ni would remove a principle strongpoint blocking Chinese access to the valley. Ridgway therefore wanted Chip’yong-ni held,
2월 8일 날이 박자 정찰부대는 출동 했는데 소대규모 전차와 대공포대가 지원되었다. 당일 정찰을 명 받고 출동하자 1015 상고송리 1.5km 앞두고 중공군의 대규모 사격에 저지를 당하였다. On 8 Feb, Kane’s BN moved out at daylight. Regiment reinforced the BN with a platoon of tanks and a section of antiaircraft artillery, The 3d Battalion moved out equipped for a one-day patrol. About 1015, heavy enemy fire stopped the BN about 1 miles short of Sanggosong.
Kane정찰대장은 상고송리에서 전투를 계속 할 수 있다 판단하면서 9연대 정찰대가 직전이 지연되어 저녁 늦게까지 도 접선할 수 없을 것 같다 보고 하였고 진지로 어둡기 전 귀환은 불가능하다 보고하였다. 또한 비상식량과 sleeping bag 등 보급품이 부족하여 야간 매복이 어렵다 보고하면서 명령을 요청하였으나 연대장의 답변은 간단명료하였다. “정찰을 계속하라.” 즉 444고지를 점령하고 9연대 정찰대와 접선을 하도록 정찰을 지속 하라라는 뜻이었다.
오후 1시 10분에 연대장은 정찰대에 현 위치를 사수하고 내일 정찰을 계속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9일 매섭게 추운 밤을 산속에서 지새고 3대대 정찰대는 1개 중대는 고송리 계곡으로 또 다른 2개 중대는 상고송리 남측 사능선을 따라 444고지를 향해 이동을 시작하였다. At 1310, Regiment ordered Kane to stay in position and continue the attack the next morning. On the 9th, after a miserably cold but quiet night, the 3d Battalion again moved east with one company in the valley, and two companies moving along the high ground south of Sanggosong toward Hill 444.
2개의 진영으로 나뉘어진 정찰대는 연대본부의 계획데로 작전을 개시하였고 Love 중대는 401 고지를 오전에 점령하고 중공군이 있는 539고지를 관찰하였다. 또한 동측으로부터 사격소리를 들을 수 있었으며 9연대 정찰대가 진격하면서 접전이 있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한편 King중대는 계곡에서 중공군과 전투를 치루며 부상자가 발생하였다. 오후에 정찰대는 중공군이 참호를 파고 저항하고 있는 539고지를 향해 진격하였다.
동측의 9연대 정찰대 진격은 매우 더뎠다. 9일 오후 늦게 Kane 중대장은 현 위치를 사수하며 하루 더 야간에 매복하기로 하였다. Love와 King중대는 539고지 서쪽 지점에서 숙영을 하였고 나머지 1개 중대는 상고송리에서 매복 하였다. 저녁 7시 30분 사단본부에서 3대대 정찰대의 작전권을 본 작전기간동안 9연대에 이관한다는 명이 떨어졌다. 심야에 9연대 본부는 Kane중대에 539고지를 점령하고 442고지로 진격하라 명령을 내렸다. To the east, the 9th Infantry patrol also made slow progress. Late afternoon on the 9th, LTC Kane decided to hold his position for another night. Love and King Companies bivouacked to the west of Hill 539. The other company remained near Sanggosong. At 1930 hours, the 2d Division gave operational control of the 3d battalion to the 9th RCT for the duration of the operation. About midnight, the 9th RCT ordered Kane to seize Hill 539 and on-order continue to Hill 442
2월 10일 Love 및 Kane중대는 539 고지를 적의 저항을 받지 않고 점령하였고 하루 밤 전에 보급품을 투하해 주도록 요천하였으나 불행히도 물자가 9연대 정찰대 측으로 투하 되었다. 10일 밤에 정차대는 442고지에 2개 중대의 진지를 구축하였다.
11일 오전에 9연대는 444고지를 공격하였고 King & Love정찰대는 442고지에서 지원사격을 개시하였다. 오후 3시 30분에 9연대는 지평리 3대대 정찰대를 본대 귀환하도록 하였고 당일치기 정찰이 4일간의 고난의 행군으로 변했었다. 같은날 503 야전포병대(6대의 155mm 야포로 흑인부대에 의해 운용)가 사단으로부터 지원되어 지평리에 합류하였고 11일 저녁 모든 정찰대는 지평리 연대본부 진지에 귀환하였다. 정찰의 결과 지평리는 중공군에 의해 완전 포위되었고 정오 항공정찰의 결과 지평리 북단 9Km 에서 수 백마리의 마차가 파악되었고 사단본부로부터 수 천명의 중공군이 마차에 야포를 끌면서 집결하고 있음을 통보 받았다. The morning of 11February, the 9th Infantry BN attacked Hill 444, and King and Love Companies supported by fire from Hill 442. At 1530, the 9th RCT released the 3d BN to return to Chipyong-ni. The one-day patrol had turned into a four-day ordeal. The same day, Baker Battery, 503d Field Artillery Battalion (African American Unit with six towed 155-mm howitzers) entered the perimeter and joined the RCT. By the evening of The evening of 11 Feb, the entire 23d RCT was inside the Chipyong-ni perimeter. Local patrols identified that the CCF was closing the ring around Chipyong-ni. Air and ground patrols reported a large enemy formation with 1200 hundred horses only six miles north of Chipyong-ni, and division reported several thousand CCF with pack animals and howitzers seven miles west of the perimeter.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