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1st US Marine Division in the Battle of Hwacheon 제1 미 해병사단의 화천지구 전투
This battle to be introduced was taken place in the area of Hwacheon, the west bank of the Pukhan river, and Chuncheon, when the UN forces advanced in the center front line to recover the lost territory from the 38th parallel. In the operation of the Dauntless, the 6th South Korean Division was concentratively attacked by the Chinese forces and defeated in flight. The 1st US Marine Division positioned on the right side of the 6th Division had to fight off in the withdrawal operation from the Hwachon frontline. In this situation, the performance of the 27th British Brigade dispatched to Kapyong urgently stopping the Chinese advance has been well addressed, but the struggle of the 1st US Marine Division on the right side of the British force has not been.
이 번에
소개하는 전투는 1951년 4월 중부전선을
주공으로 UN군이 38선을
수복하기 위한 공격작전인 Daultless 작전
중에 제6 국군사단이 중공군의 집중 공격으로 패주하면서 인접한 제1 미 해병사단이
화천, 북한강 서안 및 춘천에서 철수하며 치룬 전투를 다루고
있다. 중부전선이
붕괴될 수 있는 위기상황에서 가평에서의 긴급 출동한 제27 영국
여단의 수훈은 잘 알려져 있지만 우측 전선에서 사투를 벌인 미 해병대의 수훈은 전무한 상태이다.
In
this aspect, I would like to translate and introduce the battle that have been
on the internet by Wikipedia(the Free Encyclopedia) in English. The leadership
of the 1st US Marine Division Commander, General Smith who was in the death place
of the Inchon Landing Operation, Chosin Reservoir Battle, Hoengsong &
Hongchon Battle and Hwachon at last would be introduced, and also with the
courage and faithfulness of the 1st US Marines highly praised by their commander.
그래서 이 번에 Wikipedia(the Free Encyclopedia)에 영문으로 소개된 전사를 인용 번역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이 전투에서 인천상륙작전, 장진호 전투, 횡성/홍성전투 및 마지막으로 화천전투에서 제1 미 해병사단 사령관으로 죽음의 전선에 있었던 Smith 장군의 Leadership과 그가 극찬을 했던 그의 부대의 용기와 헌신을 소개하고자 한다.
The 1st US
Marine Division Commander General Smith
제1
미 해병사단 사령관 Smith 장군
Battle of Hwacheon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The Battle
of Hwachon was a battle fought between 22 and 26 April 1951 during
the Korean War between United Nations Command (UN)
and Chinese forces during the Chinese Spring Offensive.
The US 1st Marine Division successfully
defended their positions and then withdrew under fire to the No-Name
Line.
화천전투는
1951년 4 월
22 일부터 26 일까지
한국에서 벌어진 전투였다. 유엔사령부(UN)는 중공군(PVA)
춘계대공세를 막았고 최 전선에서 미 제1 해병사단은
작전지역을 성공적으로 방어한 후 적의 공격을 막으며 무명의 방어선(No Name Line)으로
철수했다.
Background
In
mid-April 1951, UN forces in the central front in Korea were engaged in Operation Dauntless to
advance UN positions from the Kansas Line 2–6 miles
(3.2–9.7 km) north of the 38th Parallel to
positions 10–20 miles (16–32 km) north of the 38th Parallel designated
the Wyoming Line which would threaten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 Army (PVA)
and North Korean Korean People's Army (KPA)
logistics hub marked out by the towns of Pyonggang, Ch'orwon and Kumhwa named
the Iron Triangle.[1] The
advance by US I and IX Corps was
to menace the Triangle, not invest it and if struck by strong enemy attacks
during or after the advance, the two Corps were to return to the Kansas
Line.
US Eighth Army intelligence
on 18 April warned that a PVA/KPA attack was likely any time between 20 April
and 1 May but, on 21 April, Eighth Army commander General James Van Fleet decided
to continue the Dauntless advance.
Leading
the IX Corps' advance were the Republic of Korea Army (ROK) 6th Division and
the US 1st Marine Division. In their sector, the Wyoming Line curved
southeast from the Kumhwa area to the Hwacheon
Reservoir. On 21 April, the two divisions
moved 2–5 miles (3.2–8.0 km) above the Kansas Line against
almost no opposition. The absence of opposition in the IX Corps' zone only
confirmed the recent patrol reports of PVA/KPA withdrawal.
On
the 21st, the Eighth Army G-2 (intelligence officer) reported that his
information still was not firm enough to "indicate the nearness" of
the impending enemy offensive with any degree of certainty. A worrisome fact,
as he earlier had pointed out to General Van Fleet, was that a lack of
offensive signs did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opening of the offensive was
distant. In preparing past attacks, PVA forces had successfully concealed their
locations until they moved into forward assembly areas immediately before they
attacked.
Aerial
reconnaissance after daybreak on 22 April reported a general forward
displacement of enemy formations from rear assemblies, northwest of I Corps and
north of both I and IX Corps, also extensive troop movements, both north and
south, on the roads above Yanggu and Inje, east of the Hwacheon Reservoir.
Though air strikes punished the moving troops bodies, air observers reported
the southward march of enemy groups with increasing frequency during the day.
On the basis of the sightings, west of the Hwacheon Reservoir, it appeared that
the enemy forces approaching I Corps would mass evenly across the Corps' front
while those moving toward IX Corps would concentrate on the front of the ROK
6th Division.
On
22 April, as I and IX Corps continued their advance toward the Wyoming
Line. The progress of the attack resembled that on the previous day, IX
Corps' forces making easy moves of 2–3 miles (3.2–4.8 km), the two I Corps
divisions being limited to shorter gains by heavier resistance. On the east
flank of the advance, the Hwacheon Dam,
defended so stoutly by PVA 39th Army forces
only a few days earlier, fell to the 1st Korean Marine Corps Regiment (1st
KMC) without a fight. But a PVA captive taken elsewhere in the 1st Marine
Division zone during the afternoon told interrogators that an attack would be
opened before the day was out. In mid-afternoon, the ROK 6th Division captured
several members of the PVA 60th Division and,
immediately west, the US 24th Infantry Division took
captives from the PVA 59th Division.
These two divisions belonged to the fresh 20th Army.
The full IX Army Group had reached the front. In the US 25th Infantry Division zone
on the west flank of the advance, six PVA who blundered into the hands of
the Turkish Brigade along
Route 33 during the afternoon were members of a survey party from the 2nd Motorized
Artillery Division. The division's guns,
according to the officer in charge, were being positioned to support an attack
scheduled to start after dark.
1951년 4월 중순
한국 중부전선에서 유엔군은 Dauntless작전을
수행하여38선 북쪽으로
2-6 마일(3.2-9.7km) 북쪽으로
진격하여 Kansas
방어선을 구축하였고 다시 38도선
북쪽으로 10-20 mile(16-32 km) 진격하여
Wyoming방어선을 구축하여 중공인민군(중공군)과 북한
조선인민군(KPA) 보급 중심지를 탈환하기 위한 작전을 개시하였다. 이 지역은
평강, 철원, 금화이며
철의 삼각지대로 명명되었다. 제 I
미 군단과 제IX 미 군단은
진격 중 강력한 적의 공격을 받게 되면 전 군단은 다시 Kansas 방어선으로
철수하는 것으로 계획되었다. 미 제8 군 정보국은
1950년 4월
18일 중공군/인민군
반격이 4월
20일부터 5월 1일 사이에
개시될 가능성을 보고하였고 4월
21일에 미 제8 군 사령관James
Van Fleet장군은 담대하게 진격을 계속하기로 결정했다.
미 제9 군단의
진격을 이끈 것은 제6 국군사단과
제1 미 해병사단이었다. Wyoming
방어선은 금화지역에서 화천저수지까지는 남동쪽으로 휘어져
내렸다. 4월
21일 두 사단은 Kansas 방어선
북쪽으로 2 ~ 5 miles(3.2 ~ 8.0 km) 전진하였으며
적의 공격을 받지 않았다. 미 제9 군단의
정찰보고서는 이 지역에서 최근 중공군/인민군이
철수하였음을 확인하고 있었다.
4월 21일, 미 제8 군
G-2(정보 장교)는 그의
정보가 아직 적이 확실하게 공격을 개시할 것 같지는 않다고 했다. 앞서
Van Fleet 장군에게 보고했듯이 걱정스러운 사실은 공격징후가 없이도 적은 공격을
개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과거
중공군 부대는 공격 직전에 그들의 공격개시선에 은밀히 집결하여 기습을 개시하였었다.
4월
22일 이후 새벽 항공정찰은 후방 집합에서 미 제1군단
북서쪽 후방 및 미 제IX 군단의
북쪽 전방의 적의 집결지, 화천저수지
동쪽 양구와 인제 도로에서 남북으로 광범위한 병력이동을 발견하였다. 이동하는
적 부대에 대하여 공습을 실시하였고 낮 동안 증가된 적군의 남쪽으로 행군을 보고하였다. 화천저수지
서쪽에서 관찰된 정보에 따르면 미 제1 군단에
접근하는 적군은 군단 전면에 균등하게 배치되었고, 미 제9 군단으로
이동하는 적의 병력은 제6 국군사단
전면에 집중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4월
22일, 미 제I군단과
제IX 군단은 Wyoming
방어선으로 진격을 계속했다. 공격의
진행상황은 전날과 같이 별다른 저항없이 제IX 군단이 2–3 mile(3.2–4.8 km) 진격을
하였고 제I 군단의 2개 사단은
더 거센 저항을 받아 진격을 멈추었다. 진격선상
동쪽에서 중공군 제39 군이
굳건히 방어하던 화천댐이 며칠 전 제1 한국
해병연대에 의하여 큰 저항을 받지 않고 점령되었다. 그러나
오후에 미 제1 해병사단
작전구역에서 생포된 중공군 포로가 심문관에게 오늘 중에 그들의 공격이 시작될 것이라고 진술했다. 오후
중반, 제6 국군사단은
중공군 제60 사단의 여러 부대원을 생포하였고, 바로
서쪽에 있는 제24 미 보병사단은
중공군 제59 사단의 부대원을 포로를 잡았다. 이 포로가
속한 두 사단은 신규로 투입된 제20중공군
군에 속하였다. 제IX
미 군단은 목표로 한 전선에 도달하는데 성공하였다. 서쪽에
있는 제25 미 보병사단 지대에서는 오후에
33번 국도를 따라 진격한 Turkey여단이
6명의 중공군 부대원을 생포하였고 담당 장교에 따르면 사단은 어두워진
후에 개시될 중공군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한 배치를 완료했다고 하였다.
You
can see the frontline of the 1st US Marine Division on the upper right part of
the map. Refer to the Kansas Line and No Name Line indicated a line from left
to right for your understanding. 지1 미 해병사단의
전선은 지도의 우측 상단에 표식되어 있다. 캔자스
및 무명의 방어선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표식된 선을 참조하면 이해가 쉽다.
You can see the frontline of the 1st US Marine Division
on the upper right part of the map. Refer to the Kansas Line and No Name Line indicated
a line from left to right for your understanding. 미 해병사단의 전선은 지도의 우측 상단에 표식되어 있다. 캔자스 및 무명의 방어선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표식된 선을
참조하면 이해가 쉽다.
Battle
The
first blows of the Chinese Spring Offensive on
US IX Corps’ front were directed at the ROK 6th Division which simply
evaporated as its frightened soldiers fled the field of battle. Facing only
token resistance, the PVA 40th Army was on its way south in full gear by
midnight. Soon, a 10 miles (16 km) penetration was created, and the 1st
Marine Division was in serious jeopardy. At 21:30 the duty officer at the 1st
Marine Division command post was informed that the PVA had penetrated ROK
defenses and were headed toward Marine lines. Not long after the message
arrived the vanguard of a long line of demoralized ROK soldiers began filing
in. By midnight, the Reconnaissance Company and the Military Police Company
were rounding up stragglers and placing them under guard at the ferry site just
south of the 5th Marine Regiment's
command post. These soldiers reported the 6th Division was in full retreat and
that thousands of enemy troops were rapidly moving south. Despite attempts to
reconstitute the 6th Division as a fighting force, the 1st Marine Division's
liaison officer called and said: “to all intents and purposes, the 6th ROK
Division had ceased to exist.” This was alarming news because the Marine left
flank was wide open, and the division's main supply route and all crossing
points of the Pukhan River were
at great risk. The first US troops to confirm the disaster on the left were
cannoneers from Army artillery units that earlier had been sent west to support
the ROK. Elements of the battered 987th Armored Field Artillery came pouring
back into the Marine lines after being ambushed. The unit had lost about half
of its 105mm howitzers to the ambush, and the 2nd Rocket Artillery Battery lost
all of its weapons when its defensive position was overrun. As Lieutenant
Colonel Leon F. Lavoie, commanding officer of the 92nd Armored Field Artillery Battalion acidly
observed: "there had been more artillery lost in Korea up to that point
than there was lost in the whole of the European theater in the last war by
American forces."
By
22:24, the impact of the disaster on the left was apparent, so all plans to
resume the Operation Dauntless attack the next day were abruptly canceled.
Units along the forward edge of the battlefield were placed on full alert.
Commanders hurriedly sent out combat patrols to locate the enemy and to try fix
his line of march, while the Marines at the Main line of resistance dug
in deep and nervously checked their weapons. In addition, General Oliver P. Smith ordered
Colonel Robley E. West's 1st Battalion, 1st Marines, up
from Chuncheon to
tie in with the artillery and tanks located in the valley on the far west
flank. West's battalion was soon on trucks headed for its new position, but the
convoy could only creep along over roads choked with panic-stricken ROK
soldiers escaping the battle zone. Captain John F. Coffey's Company B led the
way. At about 01:30, while still 1,000 yards
(910 m) short of its assigned position, the long column of vehicles
stopped at the tight perimeter formed by the 92nd Armored Field Artillery
Battalion, which a short time before had established a roadblock, collected
more than 1,800 ROK, and attempted by machine gun and bayonet with little
success to deploy them to slow the PVA advance. Moving west, Coffey's company
assisted in the extricating the 987th Artillery's 105mm howitzers that were
stuck in the mud. After as many guns as possible were freed, Coffey returned to
friendly lines where the 1st Battalion was manning a wooded semi-circular ridge
with Company A on the right, Company C in the center, and the 81mm mortars of
Weapons Company on relatively level ground in the immediate rear. Company B was
promptly assigned the battalion left flank. The PVA began probing Marine lines
around 23:00 on 22 April and then mounted an all-out assault to turn the Marine
flanks about three hours later. The 7th Marine
Regiment on
the left was the hardest hit unit. PVA mortar, automatic weapons, and small
arms fire began at about 02:00 on the 23rd. This reconnaissance by fire was
followed by a very determined ground assault an hour later. Shrieking whistles,
clanging cymbals, and blasting bugles signaled the onslaught. At least 2,000 PVA
troops hit the 1st Battalion,
7th Marines,
full force. That attack by the PVA 358th Regiment, 120th Division, primarily directed at
Company C and Company A, was repulsed by hand-to-hand fighting that lasted
almost until dawn. Private First Class Herbert A.
Littleton, a
radioman with the forward observer team attached to Company C, was standing the
mid-watch when the PVA appeared. He sounded the alarm then moved to an exposed
position from which he adjusted supporting arms fires despite fierce incoming
machine gun fire and showers of PVA grenades. Forced back into a bunker by
enemy fire, Littleton threw himself upon a grenade to save his comrades in that
crowded space at the cost of his own life. He was awarded a posthumous Medal of Honor for his actions that
night. Heavy fighting—much of it grenade duels and close quarters combat—lasted
several hours. PVA mortar fire and small arms continued throughout the night
and into the next day. As always, supporting arms were a critical Marine
advantage. The 11th Marine
Regiment ringed
the endangered position with artillery fire, and Marine tanks successfully
guarded the lowland approaches. In the division's center, PVA infiltrators
silently slipped through the 5th Marines’ outpost line to occupy Hill 313. A
futile counterattack was quickly launched, but the assault platoon was held in
check and suffered heavy casualties. It was not until the next morning that
elements of the 1st and 2nd Battalions, 5th
Marines, retook the hill.
At
around 03:00, the 1st KMC on the right came under heavy attack in the vicinity
of Hill 509. The Koreans threw back successive PVA attacks throughout the long
night and had ejected the PVA by the next morning. Particularly hard hit was a
single rifle company holding the left flank. The 150-man company was reduced to
only about 40 men ready for duty by daylight. The timely arrival of the
reserve 1st Battalion, 1st Marines,
eased the pressure on 1/7 Marines, and solidified the division west flank, but
fierce fighting continued into the next morning. The PVA, well aware that they
would be pounded from the air during the day, hurriedly retreated at dawn.
Eight Marine F4U Corsairs swooped
over the battlefield guided onto their targets by aerial observers flying
vulnerable OY observation
aircraft; VMF-323 flew
in support of the 5th Marines while VMF-214 attacked
the PVA in the 7th Marines’ zone. PVA casualties by all arms were estimated to
be well above 2,000 men. By noon on the 23rd, it was obvious the Marines had
won the first round, but it was also obvious that the fight was far from over.
For his leadership in securing the division's vital flank, 1/7 Marines
commander, Lieutenant Colonel Webb D. Sawyer was
awarded a Navy Cross.
Although
the Marines held fast and remained a breakwater that stemmed the onrushing PVA,
they were still pouring through ROK lines and "The position of the 1st
Marine Division was beginning to appear to some persons, very similar to the
situation at the Chosin Reservoir."
On the Marine left a deep envelopment threatened. As a result, IX Corps'
commander General William M. Hoge ordered
the 1st Marine Division to fall back. Consequently, General Smith passed the
word for his units to retire to new defensive positions on the Pendleton
Line at 09:35. The PVA threat was so great that Smith was forced to
place the entire 1st Marine Division on the high ground north of the Chuncheon
Corridor to protect the vital Mujon Bridge and several ferry crossings. This
was a bold move because the Marines would have an unfordable river at their
back and there was no division reserve in place. It also required a complex set
of maneuvers whereby the Marines would have to defend the Pukhan River line,
and at the same time move back to Chuncheon. General Smith would have to carefully
coordinate his supporting arms as well as effect a passage of lines under fire.
Air and artillery would keep the PVA at bay while armor and the division's
heavy weapons protected the avenues of approach and the river crossings.
Smith's plan was to give ground rapidly in the north while slowly pulling back
in the south, letting his westernmost units alternately pass through a series
of blocking positions. Engineers would finally blow the bridges once the
rearguard made it over the river. All hands were called upon to contribute
during this fighting withdrawal. Cooks, bakers, and typists, even a downed
pilot, were soon shouldering M1 rifles or
carrying stretchers under fire. Just as at the Chosin Reservoir, the creed that
"every Marine is a rifleman regardless of his military occupational
specialty" saved the day. General Smith wanted to form a semi-circular
defense line that arched southwest atop key ground from the tip of the Hwachon
Reservoir west for a few miles then bending back along the high ground abutting
the Pukhan River and overlooking the Chuncheon Valley. To do this he
immediately ordered the rest of the 1st Marines forward from Chuncheon to hold
the hills in the southwest while in the north he instituted a "swinging
gate" maneuver whereby the Korean Marines anchored the far right, the 5th
gave ground in the center and the 7th Marines pulled back in echelon to link up
with the 1st Marine Regiment.
Fighting
continued throughout the day. In the west, the 7th Marines had its own 3rd Battalion and
the attached 1/1 Marines, to cover the withdrawal. The hard-hit 1st Battalion
pulled back covered by fires from the 2nd Battalion. 3/7 Marines, seized some
fiercely held high ground while 1/1 Marines, fought off repeated PVA probes
that lasted until nightfall. Units of the 1st Marines held the southernmost
positions. The remaining two reserve battalions had moved out of their assembly
areas that morning, crossed the Pukhan River, then occupied a pair of hills
protecting the main supply route and several crossing points. Actually, the
arrival of the 2nd and 3rd Battalions,
1st Marines, was a close run thing. The Marines had to virtually race up the
hills to beat the PVA who were also on the way to take what was obviously the
most important terrain feature in the area. Hill 902 (actually a 4,000 feet
(1,200 m) mountain top) dominated the road to Chuncheon and protected the
concrete Mojin Bridge as well as two ferry sites. Its defense became the focal
point of the Marine withdrawal. In the center, 5th Marines moved back under
scattered small arms and mortar fire, but encountered no PVA ground units. On
the division right, the 1st KMC pulled back and then dug in just before being
ranged by PVA mortar and artillery fire. Unfortunately, the 1st Marine
Division's line was fragmented, not continuous, with units of the 1st and 7th
Marines holding widely separated battalion-sized perimeters located atop key
terrain. The 11th Marines, reinforced by several Army artillery battalions, was
busy registering defensive fires as night fell on 23 April. That day also
marked the first mass helicopter medical evacuation in history. All of VMO-6's HTL-4 helicopters
were airborne at first light. Fifty critically wounded men were flown out
between 06:00 and 19:30. A total of 21 sorties (22.6 flight hours) were made
from Chuncheon to the front lines then back to the 1st Medical Battalion collecting
and clearing station. Every flight encountered some type of PVA fire, but there
were no losses of aircraft or personnel. The final flight had to be guided in
with handheld lights because the airfield had been officially blacked out.
Ground personnel and flying officers alike were formed into provisional
platoons and assigned defense sectors in case the PVA broke though, and all
excess material and equipment was loaded on trucks for movement back to Hongcheon that
night.
On
the night of 23-24 April, the 1st Marines caught the brunt of the PVA 120th
Division attack. In the north, 1/1 Marines, still under the operational control
of Colonel Herman Nickerson Jr.'s
7th Marines, was dug in on Horseshoe Ridge. This was a key position
which, if lost, would split the 1st Marine Division wide open and allow the PVA
to defeat it in detail. Farther south, the 2nd and 3rd Battalions, 1st Marines,
manned separate perimeters on Hill 902 overlooking the flat lands of the
Chuncheon Corridor. These positions constituted the last line of defense, and
if they were lost the division would be surrounded and cut off. The Marines
were hit by artillery, mortar, small arms, and automatic weapons fire all
through the night. The 1st and 7th Marines on the left flank were probed as PVA
forces searched for crew-served weapons positions and weak spots in the line.
The four-hour fight for Horseshoe Ridge began at about 20:00.
There, the men of the 1st Battalion, 1st Marines, managed to blunt an attack by
the PVA 358th Regiment in savage hand-to-hand fighting. Farther north, 3/7
Marines, repelled PVA probes all night long. As part of that action, the Army's
92nd Armored Field Artillery Battalion repelled a dawn ground attack using
machine guns and direct fire artillery to eliminate several hundred PVA troops,
while continuing to deliver fire for the Marines on Horseshoe Ridge.
Marine M26 Pershings from
the 1st Tank Battalion eventually
joined the 92nd Battalion, scattering the PVA with deadly flat-trajectory fire.
PVA stragglers were cleared out by joint Army-Marine patrols before the Army
artillerymen displaced to new positions.
The PVA's
main thrust that night, however, was directed farther south where they tried to
turn the open Marine flank, but instead ran headlong into 3/1 Marines, atop
Hill 902. A series of full-scale assaults began at about midnight. The PVA
359th and 360th Regiments repeatedly hit the 3rd Battalion's exposed perimeter,
but all efforts to eject the determined defenders were unsuccessful. After PVA
mortars pounded Banning's Marines for several hours a "human wave"
ground assault almost cracked Company G. That this did not happen was a tribute
to the actions of Technical Sergeant Harold E. Wilson.
Despite being wounded on four separate occasions, he refused evacuation and
remained in command of his platoon. Unable to man a weapon because of painful
shoulder wounds, Wilson repeatedly exposed himself to PVA fire while
distributing ammunition and directing tactical movements even though he was hit
several more times. Wilson was later awarded the Medal of Honor for his
leadership that night. The Marines took heavy casualties during fierce
hand-to-hand fighting, but the PVA were unable to dislodge them. At 09:30 on 24
April, the battered Marines were almost out of ammunition and their ranks had
been severely thinned, but they held their positions. The PVA plan to trap and
annihilate the 1st Marine Division had been a costly failure.
General
Hoge ordered the Marines to pull back to the Kansas Line as
part of a general realignment of IX Corps. This would not be an easy maneuver
because it would require disengaging under fire and making several river
crossings. To do this, General Smith had to restore tactical unity prior to
movement. The 1st Marines was reunited on the morning of the 24th when 1/1
Marines, which had been hotly engaged while attached to the 7th Marines for the
past few days, rejoined the regiment. Concurrently, 3/1 Marines, conducted a
fighting withdrawal protected by Marine, Navy and Air Force air strikes and
artillery fire by Marine and Army units. The battered 3rd Battalion passed
through the 2nd Battalion and then both units fought their way back to the high
ground covering the river crossing. The regiment was under continuous fire
during the entire movement and suffered numerous casualties en route. At the
same time, 3/7 Marines, set up farther south on Hill 696 to defend the
Chuncheon-Kapyong road
as well as the southern ferry sites. This key position, the southernmost high
ground, dominated the Chuncheon Corridor and the Pukhan River and would be one
of the last positions vacated. On the right, the 5th Marines and the 1st KMC
pulled back harassed by only scattered resistance. The resultant shortening of
the division front allowed Smith to pull the 7th Marines out of the lines and
use it as the division reserve. By the evening of 24 April, the 1st Marine
Division's lines resembled a fishhook with the 1st KMC at the eye in the north,
the 5th Marines forming the shank and the 1st Marines at the curved barb in the
south. The 7th Marines, less the 3rd Battalion, was charged with rear area
security and its 1st and 2nd Battalions were positioned to protect river
crossings along the route to Chuncheon as well as the town itself.
The
1st Marines again bore the brunt of PVA probes on the night of 24-25 April, but
accurate close-in fires by 105mm and 155mm howitzers kept potential attackers
at a distance. The 2nd Battalion repelled a PVA company in the only major
action of the evening. The PVA were still lurking in the west as became evident
when patrols departing friendly lines in that area quickly struck a PVA
hornet's nest the following morning. One such patrol was pinned down less than
200 yards (180 m) from friendly lines. Another platoon suffered 18
casualties and had to be extricated from an ambush by tanks. On the other hand,
5th Marines and 1st KMC scouts ventured 1 mile (1.6 km) to the north
without contact. Air and artillery plastered the western flank, but PVA machine
gun, mortar, and artillery fire continued to hit Marine positions. In the 1st
Marines’ zone PVA gunners found the 3rd Battalion command post, wounding the
Regimental commander, Colonel McAlister; the Battalion commander, Lieutenant
Colonel Banning; the executive officer; and Major Trompeter, the operations
officer. Banning and the executive officer had to be evacuated, and Major
Trompeter took over the battalion. Colonel McAlister refused evacuation and
remained in command of the regiment. It was obvious the PVA were biding their
time until they could gather enough strength for another try at the Marine
lines. There was continual pressure, but the 11th Marines' artillery harassment
and interdiction fires, direct fire by Marine tanks, and an air umbrella
prevented a major assault. PVA action was limited to only a few weak probes and
a handful of mortar rounds as the Marines moved back. The 1st Marine Division
reached the modified Kansas Line in good order. Despite
suffering more than 300 casualties in the last 48 hours, the Marines handled
everything the PVA threw at them and still held a firm grip on the IX Corps'
right flank when the PVA offensive ground to a halt.
During
this very brief break in the action a new division commander took over. Major
General Gerald C. Thomas became
the 1st Marine Division's commanding general at a small ceremony attended by
the few available staff members on the afternoon of 25 April. Despite the
hurried nature of the command change and the fact that it occurred in the midst
of a complex combat action, the transition was a smooth one that did not hinder
operations. The first order General Thomas received was to pull the 1st Marine
Division back to a new position where Korean laborers were toiling night and
day to construct a defensive bulwark. The Marine movement was no isolated
withdrawal. All across the front, the UN forces were breaking contact in order
to man a new main line of resistance known as the No-Name Line.
This unpressured retrograde marked a radical change in UN tactics. Upon taking
command of Eighth Army in December 1950 General Matthew Ridgway adopted
mobile defensive tactics to deal with enemy attacks. Instead of "hold your
ground at all cost," he instituted a "roll-with-the-punches"
scheme whereby UN units traded ground to inflict punishment. To do this Ridgway
insisted that his troops always maintain contact with both the enemy and
adjoining friendly forces during retrograde movements. This time, however,
General Van Fleet decided to completely break contact. He opted to pull back as
much as 20 miles (32 km) in places. There, from carefully selected
positions, his troops could trap exposed attackers in preplanned artillery kill
zones at the same time air power pummeled ever-lengthening enemy supply routes.
In hindsight, this combined-arms approach fully utilized UN strengths while
exploiting enemy weaknesses, but at the time it befuddled many Marines to have
to abandon hard-earned ground when there seemed to be no serious enemy threat.
Such was the case when the 1st Marine Division was told to fall back to a
section of the No-Name Line located near Hongcheon far to the
south. This movement would be done in two stages. The first leg of the journey
was back to Chuncheon where the rifle units would cover the support units as
they pulled out. When that was accomplished the combat units would continue on
to the No-Name Line. There was no significant enemy interference
with either move. The initial departure began at 11:30 on 26 April. The 5th
Marines and 1st KMC retired first, followed by 1st Marines, with 3/7 Marines,
attached. A curtain of close air support supplemented by rocket and artillery
fires shrouded these movements. All units, except the rearguard, were safely
across the meandering Pukhan River before dark. The last remaining bridge
across the chest-deep river was blown up at 19:00, forcing 2/1 Marines and 3/7
Marines, to wade across the chilly barrier in the middle of the night. The movement
back to Chuncheon was completed by noon, and the Marines took up defensive
positions along the southern banks of the Soyang River on
the afternoon of the 27th without incident. The only enemy encountered during
the pull-back was one bewildered PVA straggler who had inadvertently fallen in
with the Marine column in the darkness.
On
28 April, the second phase of the withdrawal began. The Marine withdrawal was
again unpressured, but it took three days to finish the move south due to
serious transportation problems. Finally, on 30 April, the Marines settled in
at the No-Name Line with the 5th Marines on the left, the 1st
KMC in the center, the 1st Marines on the right and the 7th Marines in reserve.
The month of April cost the Marines 933 casualties (93 killed, 830 wounded, and
10 missing), most lost during the offensive. The PVA enjoyed some local
successes, but overall their attacks fell far short of expectations. Operation
Dauntless had been stopped in its tracks, but what little ground the PVA gained
had been purchased at a fearful cost; the PVA lost an estimated 70,000 men. The
headlong UN retreat the Chinese expected did not materialize. This time there
was no "bug out". Instead, most breaks in the line were quickly
sealed, and the UN was holding firm at the No-Name Line. By the
last day of April, it was apparent to both sides that the PVA/KPA would not be
parading through the streets of Seoul on May Day as their leaders had promised.
중공군
춘계대공세의 첫 번째 목표는 제9 미 군단
전선의 제6 국군사단이었다. 중공군의
기습공격에 겁을 먹은 제6 국군사단
병사들이 패주하며 전장을 떠날 때 제40 중공군군은
자정까지 완전한 군장으로 남쪽으로 돌격하였다. 곧
16 km(10 miles)의 관통부가 미 제9 군단의
전선에 형성되었고 동쪽에 인접한 제1 미 해병사단은
퇴로가 차단될 심각한 위험에 처했다. 21시
30 분에 제1 미 해병사단
지휘소의 한 장교는 중공군이 한국군의 방위를 뚫고 미 해병 전선으로 향하고 있다는 전화를 받았다. 전언이
도착한 지 얼마 지나지 않아 긴 줄의 한국군 병사들의 선봉대가 미 해병대 전선으로 도착하기 시작했다. 자정이
되자 미 해병 정찰대와 헌병대는 국군 낙오자들을 모아 남쪽에 있는 북한강 나루 부지에 수용하였다. 한편
제5 해병연대의 지휘소에도 제6 국군사단이
완전히 패퇴하면서 수많은 중공군 병력이 빠르게 남쪽으로 진격하고 있다는 보고가 접수되었다. 제6 국군사단의
전투력을 재편하려는 시도에도 불구하고 제1 미 해병사단
연락관은 "제6 국군사단은
전투병력으로서 목적과 전의를 완전 상실하고 패주하고 있다.”라고 전화를 걸어 보고하였다. 미 해병대
좌측 전선이 활짝 뚫리었고 이에 따라 사단의 주 보급로인 화천으로부터 춘천으로 북한강의 도강지점(모진교)이 차단될
큰 위험에 처했기에 미 해병대에게는 비상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좌측
전선의 붕괴를 확인한 최초의 미군은 한국군을 지원하기 위해 서쪽으로 보내진 미 육군 포병대였다. 국군의
패주로 기습당한 제987 미 야전
포병대가 해병대 전선으로 탈출하였다. 이 부대는
기습당하여 105mm 곡사포의 절반 정도를 잃어버리고, 제2 Rocket포병대는
유린되면서 모든 무기를 잃었다. 제92
미 포대장의 지휘관인 Leon F. Lavoie 중령은
“미군이
치룬 지난 제2차 세계대전에서
유럽에서 상실된 야포보다 현재까지 한국에서 상실된 야포가 더 많았다.”라고 하였다.
22:24까지
미 해병대의 좌측 전선붕괴에 따른 위험성은 명확해 졌고 다음날 Dauntless 작전은
취소되었다. 전방 전선에 배치되어 있는 미 해병부대에 비상사태가 발령되었고
미 해병대사령관은 적의 위치를 파악하고
전열을 정비하기 위하여 긴급하게 전투정찰대를 제6 국군사단이
패주하는 도로로 보냈고, 전방에
있는 진주했던 해병부대들은 긴장된 상태로 장비와 무기를 점검하였다. Oliver P. Smith장군은
West대령의 제 1
해병연대 소속의 제1 대대와
지원할 수 있는 포병과 탱크를 국군사단의 패주로에 배치하라 명령했다. 멀리
서쪽의 사창리 방향 계곡으로 제1 대대는
곧 작전지역을 향해 트럭으로 이동하였지만 전선을 탈출하는 공황상태에 빠진 한국군 병사들로 도로가 막혀 전진이 어려웠다. 선두에서
John F. Coffey의 B중대가
길을 트면서 이끌었다. 새벽
1시
30 분경, 목표지점으로
부터 1,000 yards(910 m) 전에서
제92 미 야전포병대 차량행렬이 길게 도열 되어 있는 지점에서
도로상에 장애물을 설치하여 기관총과 총검으로1,800 명 이상의
한국군을 집합시켰으나 중공군 진격을 막기위한 시도는 성공하지 못하였다. Coffey가 이끄는
중대는 여기서 더 서쪽으로 행군하여 제987 미 포병대의
105 mm 곡사포를 수렁으로부터 견인하였고 Coffey중대는
대대로 다시 복귀하였다. 제1 대대는
숲이 울창한 말굽형 능선(Horseshoes Ridge) 오른쪽에
A중대를 배치하고,
C중대는 중앙에, 그리고
81mm 박격포 진지는 저지대 중앙에, 그리고
B중대는 능선 오른쪽에 배치하였다. 중공군은 4월
22일 23:00경에
미 해병대대 진지를 정찰하기 시작하였고 약 3 시간
후 전면 공격을 시작했다. 이 지점에
긴급 배치된 제7 해병연대 1대대가
가장 큰 피해가 발생했다. 중공군은
박격포 및 기관총 사격을 하면서 23 일
02:00 경 공격을 시작했다. 이 정찰공격은
한 시간 후 본격적인 공격으로 이어졌다. 피리소리, 징 울리는
소리를 내면서 맹공격을 개시하였다. 최소
2,000 명의 중공군 병력이 제1 미 해병대대를
향해 공격했다. 주로 C
중대와 A 중대를
겨냥한 제358 중공군연대(제120사단)의 공격은
새벽까지 계속되었다. 중공군이 나타났을 때 C 중대에
소속 관측팀 무전병 일등병 Herbert A. Littleton은 중앙
감시점에 서 있었는데 부대에 적의 공격경보를 울린 다음 치열한 기관총 사격과 수류탄 투척에도 불구하고 화력지원을 위한 제원을 통보하기 위해 자신을
노출시키며 이동했다. 적의
사격으로 벙커로 피신한 Littleton은 동료를
구하기 위해 날라 들어온 수류탄에 몸을 던졌다. 그는
사후 Medal of Honor를 수상했다. 중공군
박격포 발사와 사격은 밤을 새워 다음날까지 계속되었습니다. 항상
그렇듯이 미 해병의 화력지원은 전투에서 중요하였고 제11 미 해병
포병대는 제1대대 철수를 화력지원으로 엄호하였고 미 해병 탱크들은
저지대에서 적의 공격을 방어했다.
한편
미 해병사단 방어선의 중앙에 있던 제5 미 해병연대는
중공군이 313고지를 점령하기 은밀히 침투하여 공격해 왔을 때 반격하면서
많은 사상 자가 발생했고 다음날 아침이 되어서야 제1 및 제2 대대는
고지를 다시 회복할 수 있었다. 우편의
제1 국군 해병연대는
03:00 경에509 고지에서
적의 강력한 공격을 받았다. 국군
해병은 밤 세워 연속적인 중공군 공격을 물리쳤고 다음날 아침이 되어서야 중공군을 격퇴할 수 있었다. 특히
한 소총중대가 피해를 입었는데 150 명 중대병력은
약 40 명으로 축소되었다.
제7미 해병연대
제1 대대가 적시에 중공군의 공격지점에 도착하여 사단을 방어하였지만
격렬한 전투는 다음날 아침까지 계속되었다. 그러나
중공군은 곧 미군 공습이 실시될 것을 예상하고 서둘러 후퇴했다. 8대의
미 해병 F4U Corsairs 가 한 관측기의
유도하에 전장을 공습했다. VMF-323 함대는
제5 해병연대를 지원하고
VMF-214 은 제7 해병연대
전선에서 중공군을 공습했다. 이 공격에서
중공군은 2,000명 정도 사살되었다.
23일 정오까지 미 해병대가 중공군의 1차 공격을
저지한 것은 분명했지만 전투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중공군은
계속하여 국군이 패주한 경로를 통하여 좌측 전선에서 남하하고 있었다. 제1 미 해병사단의
현재 처한 상황은 장진호(Chosin Reservoir) 상황과
매우 유사하다고 생각되었다. 미 해병대는
중공군에게 깊게 포위될 위험에 처한 것이 명확해졌다. 결국
제IX 군단의 사령관
William M. Hoge는 제1 미 해병사단에게
후퇴를 명령했다. 결과적으로
제1 미 해병사령관 Smith
장군은 09:35에 자신의
부대에게 Pendleton 방어선으로 후퇴하라는
명령을 하달하였다. 중공군의
진격이 너무 빨랐기에 Smith장군은
북한강을 통과할 수 있는 무진교와 인근 나룻터를 방어하기 위해 북한강 서측 고지를 따라 예비대인
제1 해병연대 전체를 배치해야 했다. 미 해병대
입장에서 큰 장애물인 북한강이 가로 놓여 있고 사단에는 더 이상 예비대가 없었기에 정확한 작전이 필요했다. 즉 해병대가
북한 강선을 방어하면서 북측 화천에 있던 병력이 도강하여 춘천으로 철수하는 복잡한 기동이었다. Smith장군은
그의 부대들의 이동을 조심스럽게 통제하면서 도강하는 시점을 통제해야 했다. 항공과
포병화력으로 중공군을 막아 내고 전차와 사단의 야포화력은 도강하는 길목을 엄호했다.
Smith장군의 전략은 사단의 전방 북쪽에서 빠르게 철수하여 도강하되 남쪽으로 도착한 뒤에는 서쪽에 있던
엄호 부대가 철수하는 시점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철수하여 춘천으로 집합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철수를 엄호하는 부대가 도강을 끝내면 공병대는 모진교를 폭파한다. 이 철수하는
작전에 모든 병력이 동원되었다. 즉 요리사, 제빵사, Typist,
항공기 조종사까지 모두 M1 소총을
들고 싸워야 했다. 장진호(Chosin
Reservoir) 전투에서 보여준 "모든
해병은 직무 및 직종에 관계없이 소총 수이다.”라는 신념이 이 작전에서도 발휘되었다. Smith
장군은 서쪽 화천저수지 끝에서 서쪽으로 몇 mile
지나 남쪽으로 휘어져 내려온 춘천 길목을 조망할 수 있는 주요 고지군을 중심으로 남서쪽으로 반원형 저지선을
구축하고자 했다. 그는
즉시 춘천에서 주둔한 제1 해병연대에
남서쪽 언덕을 확보하라 명령하고, 북쪽에서는
한국 해병대가 전선의 맨 오른쪽을 고수하는 동안 제5 미 해병연대가
철수를 시작하고 제7 해병연대는
제1 해병연대와 연결하도록 이동을 명하였다. 전투는
하루 종일 계속되었다. 서쪽에는
제7 미 해병연대 소속 3개 대대와
제1 미 해병연대 소속 제1 대대가
있었다. 큰 손실을 입은 제1 미 해병연대
소속 제1 대대의 철수를 제2 대대가
엄호하였다. 제3 대대는
치열하게 고지대를 장악하였고 제1 대대는
해질
녘까지 반복적 중공군의 공격을 막아 내었다. 한편
제1 해병연대는 사수선의 최남단으로 이동하였다. 즉 두
개의 예비 대대는 그날 아침 집결지에서 북한강을 건너 뛰고 주 보급로와 북한강 교차점을 보호하도록 한 쌍의 고지군을 점령했다. 사실, 제1 해병연대
제2 및 제3 대대의
고지 점령은 숨가쁘게 수행되었다. 해병대는 이 지역에서 가장 중요한 지형지물인 902
고지(실제로는
1,200 m)를 향하여 달려 올라가야 했다. 이 고지
확보를 통하여 춘천으로 가는 철수로, 모진교와 2
개의 선착장을 엄호할 수 있었다. 전선
북쪽의 사단 오른쪽 제5 해병연대는
적의 큰 저항없이 철수할 수 있었고 제1 국군
해병연대는 중공군 공격 직전에 철수했다. 그러나
제1 해병연대와 제7 해병연대는
방어선 상 각 대대별로 넓게 분산되어 서로 연결되지 않고 분리되어 철수로를 감제할 수 있는 고지군을 확보하고 있었다. 4월
23일 밤이 여러 육군 포병대대를 통합한 제11
해병포대는 화력지원을 위한 영점사격을 하느라 바빴다. 그날은
또한 역사상 최초의 복원 의료 대피를 기록했습니다. VMO-6 의
HTL-4 헬리콥터들은 미군 역사 상 최초의 응급수송 작전을 시행했다. 50명의
중상을 입은 병사를 06:00에서
19:30 사이에 춘천에서 최전선까지 총
21 회의 출격(22.6 비행시간)을 통하여
이송하였고 이 후 제1 의료대대
집결소로 이송하였다. 모든
비행은 적의 공격을 받았고 마지막 비행은 비행장이 폐쇄되었기에 개인 조명으로 안내되었다. 지상요원과
조종사 모두 중공군이 공격에 대비하여 임시 전투소대를 구성하여 방어구역을 지정하고 그날 밤 홍천으로 철수하기 위해 자재와 장비를 트럭에 실었다.
4월23-24일 밤, 제1 미 해병사단은
제120 중공군 사단으로부터 공격을 받았다. 거기에서
여전히 Herman Nickerson Jr. 대령의
제7 미 해병연대 작전통제 하에 있는 제1 해병대대(제1 미 해병연대)가 말굽형
고지(Horseshoe Ridge)에 전투
중에 있었다. 제1 대대가
여기서 패배할 경우 제1 미 해병사단을
남북으로 분리되어 중공군이 각개적으로 격파를 당할 수 있는 중요한 위치가 진격해 있었다. 여기서
남쪽으로 더 가면 제1 미 해병연대의
제2 대대 및 제3 대대가
춘천이 내려다 보이는 902고지(화악산)에 별도의
방어선을 구축했다. 이 위치는
최후의 방어선으로서 만약 상실하게 되면 미 해병사단은 차단되고 포위될 것이다. 미 해병대는
밤새도록 중공군으로부터 야포사격, 박격포사격
및 각종 개인화기사격을 받았다. 중공군은
제1 및 제7 미 해병대대의
자동화기 위치와 방어선의 취약점을 파악하기 위한 정찰공격을 개시하였다. 말굽형
진지(Horseshoe Ridge)에서
20:00경에 전투가 시작되어 4시간
동안 지속되었다. 그 곳에서
제1 해병대대는 백병전을 치르면서 제358
중공군 연대의 공격을 저지하였다. 북쪽에서는
제3 대대 (제7 미 해병연대)가 밤새도록
중공군의 정찰공격을 격퇴했다. 제92
미 야전포대는 기관총과 야포를 직선으로 눕혀 직사하면서 새벽까지 계속된 중공군의
파상 공격을 격퇴하며 수백 명의 병력을 제거하면서 말굽형 고지에 있는 제1 미 해병대대를
위한 화력지원을 계속하였다. 제1 미 해병
전차대의 M26 Pershing들은 제92
미 야전포대에 도착하여 근접사격으로 주변의 중공군을 살상하였다. 침투한
중공군들은 미 육군 포병대가 새로운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미 해병과의 합동 진압작전으로 모두 제거되었다.
그러나
그날 밤 중공군의 주요 병력은 더 남쪽으로 진격하는 대신 902 고지에 있는 제3 대대(제1 미 해병연대)를 향해
달려 올라갔다. 제359
및 제360 중공군
연대는 자정 무렵부터 본격적으로 제3 대대의
저지선으로 반복적인 공격을 시도하였으나 침투에 실패하였다. 중공군은
박격포로 몇 시간 동안 Banning의 해병대대를
공격한 후 G 중대를 인해전술로 집중 공격하였다. 그러나 G중대가
붕괴되지 않은 것은Harold E. Wilson 상사의
용감한 행동 때문이었다. 그는
네 차례에 부상을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대피하지 않았고 그의 소대를 지원하였다. 어깨부상으로
인해 무기를 잡을 수 없었던 Wilson상사는
피격을 당하면서 동료들에게 탄약을 분배하고 중공군에 반복적으로 자신을 노출시키면서 전술적인 지시를 부대원에 전달하였다. Wilson상사는
그날 밤 그의 수훈으로 명예훈장이 수여되었다. 중공군은
산 정상에서 미 해병대와 백병전까지 치르면서 치열하게 공격했으나 결국 점령할 수 없었다.
4월 24일 9시
30분, 공격당한
미 해병대도 거의 탄약이 바닥났고 전투할 수 있는 병력도 심각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고지를 점령하여 제1 미 해병사단을
감제하고 포위하여 섬멸하고자 했던 중공군의 공격은 실패하였고 큰 병력손실이 발생되었다.
Hoge장군은
제6 국군사단의 패주로 인한 제IX
미 군단의 전선 재 편성을 위하여 미 해병대에게 현 전선에서 Kansas선으로
철수도록 명령했다. 이것은
적의 공격을 받으면서 철수하여야 하며 여러 번 강을 건너야 하기 때문에 대단히 어려운 작전이었다. 이를
위해 Smith장군은 철수를 하기 전에 먼저 사단의 전술적 통합을 복원하고자
하였다. 먼저
제1 해병연대는 지난 며칠간 제7 해병연대에
소속되어 교전한 제1 대대가
24일 연대에 복귀하도록 하였다. 제3 대대는
항공화력과 해병 및 육군 부대의 포병화력의 지원 하에 철수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전투로
약화된 제3 대대는 제2 대대를
통과하고 두 부대는 강 건너 고지로 이동하도록 하였다. 제1 미 해병연대는
철수 중에 중공군의 연속적 공격으로 많은 사상자가 발생했다. 제3 대대(제7 미 해병연대)는 춘천-가평
도로와 북한강 선착장을 방어하기 위해 더 남쪽으로 이동하여 696 고지에
방어선을 구축했다. 이곳
최남단 고지는 춘천과 북한강을 감제할 수 있어 북한강 서안에서 마지막으로 철수하게 계획되었다. 오른쪽
전선의 제5 미 해병연대와 제1 국군
해병연대도 산발적인 공격을 당했다. 결과적으로 사단 전선이 단축됨에 따라
Smith사령관은 제7 미 해병연대를
전선으로 부터 소집하여 사단 예비대로 지정하였다. 4월
24일 저녁, 제1 미 해병사단의
낚시바늘과 같은 형태의 저지선은 북쪽 바늘 귀 부분에 제1 국군
해병연대, 서쪽 휘어진 부분에 제5 해병연대, 남쪽의
바늘부분은 제1 해병연대가
배치되었다. 제3 대대를
북한강 서안에 배치한 제7 미 해병연대는
사단 후방을 방어하기 위해 제1 및 제2 대대를
도강지점에 배치하였다.
제1 미 해병연대는
다시 중공군의 공격을 격퇴하였다. 4월
24 ~ 25 일 밤 중공군 공격이 있었지만
105mm와 155mm 야포의
정확한 화력지원으로 중공군들이 접근할 수 없도록 하였다. 제2 대대는
저녁에 한 차례 중공군 공격을 격퇴하였다. 중공군은
여전히 북한강 서안에 집결되어 있어 정찰공격이 끝나면 본격적으로 다시 공격해 올 것이 예상되었다. 중공군
공격은 아군 저지선에서 180 m(200 yards) 앞에서
저지되었다. 미 해병의 한 소대는
18 명의 사상자가 발생했으며 전차의 지원으로 적의 매복으로부터 탈출하였다. 한편
제5 미 해병연대와 제1 국군
해병연대는 과감하게 추진하여 북쪽으로 1.6km를 정찰했으나
적의 공격을 받지 않았다. 항공포격과
야포의 화력이 북한강 서안에 있는 중공군을 향해 집중되었으나, 중공군도
계속하여 기관총, 박격포
및 야포로 미 해병대 진지를 타격하였다. 중공군은
제1 미 해병연대 제3 대대
지휘소이 있던 연대사령관 McAlister 대령을
포격하여 부상을 입혔다. 대대장인
Banning 소령과 작전참모인 Trompeter
중령은 긴급히 대피하여야 했고 Trompeter
중령이 전시 사령관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McAlister 대령은 후송을 거부하고 계속 연대 지휘소에 머물렀다. 중공군은
미 해병대 전선에서 또 다른 공격을 시도할 병력으로 집결하고 있는 것이 확실했다. 미 해병대는
지속적으로 공격을 받았지만 제11 미 해병포대의
교란사격과 차단사격, 미 해병전차들의
직사, 미 해병전투기의 근접지원사격으로 적을 저지하였다. 중공군은
미 해병대가 뒤로 철수함에 따라 추적하면서 박격포 사격에 이은 정찰공격을 시도했다. 제1 미 해병사단은
조정된 Kansas 방어선으로 철수를 완료했다. 지난
48 시간 동안 300명의
전사자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미 해병대는 중공군의 모든 공격을 격퇴하면서 제IX
미 군단의 우측 전선을 굳건히 사수하였다.
새로운
미 해병사단 사령관으로 임명된 Thomas 장군은
4월
25일 오후 소수의 참모들이 참석한 가운데 이취임식이 시행되었다. 인사명령은
복잡한 전투상황에서도 작전을 방해하지 않고 순조롭게 거행되었다. 토마스
장군이 받은 첫 번째 명령은 한국 노동자들이 밤낮으로 구축한 진지로 제1 해병사단을
철수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미 해병사단만의 철수가 아닌 전 전선에서 UN군은
무명의 방어선(No Name Line)으로
철수를 의미했다. 적의
공격이 없는 상황에서 후퇴는 UN군의
전략적 변화를 의미했다. 1950년
12월 제8 군을
지휘하는 Matthew Ridgway 장군은
중공군 공격을 격퇴하기 위한 이동식 방어 전략을 채택했다. 그는
"어떠한 대가를 치르든지 자신의 위치를 고수하는 것"대신에
“적을
살상하기 위해서라면 진지를 포기하는 것”이라는
전략을 도입했다. Ridgway장군은
철수하는 중에도 항상 적과 대치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번에는 Van Fleet 장군이 완전히 철수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는 현 전선에서 32
km(20 miles)까지 남쪽으로 후퇴하기로 결정했다. 새로운
후방 방어선에서 그의 군대는 미리 계획된 포병살상지역으로 중공군이 진입하면 그곳에서 화력으로 강타하는 것이었다. 돌이켜
보면 이 전략은 적의 약점을 파악하여 UN군의
강점을 충분히 활용하는 것이지만 많은 해병들이 힘들게 점령한 진지를 포기해야 하는 당황스러운 것이다. 제1 미 해병사단이
멀리 남쪽 홍천 근처에 무명의 방어선으로 철수하도록 명령되었다. 이 작전은
두 단계로 이루어진다. 작전의
첫 단계는 전방의 전투부대가 춘천의 사단본부 및 지원대가 철수를 완료할 때까지 엄호한다. 그것이
완료되면 전투부대는 무명의 방어선으로 철수를 개시한다. 이 작전
중에 중공군의 공격은 없었다. 첫 출발은 4월
26일 11:30에 시작되었다. 제5 해병연대와
제1 국군 해병연대가 먼저 철수하고, 그 다음으로
제3 대대(제7 미 해병연대)가 철수했다. 철수하는
동안 박격포와 포병화력의 엄호가 있었다. 후방에
남았던 모든 부대는 어두워지기 전에 구불구불한 북한강을 도강하였다. 강을
가로 지르는 마지막 다리인 모진교는 19:00에 폭파되어
제2 대대(제1 해병연대)와 제3 대대(제7 해병연대)는 한
밤중에 수심이 허리까지 차는 북한강을 도보로 도강해야 했다. 춘천으로의 철수는 정오까지 완료되었고 미 해병대는
27일 오후 소양강 남쪽 기슭에 집결하였다. 이 철수
과정에서 마주 친 유일한 중공군들은 전선에서 낙오된 병사들이었다.
4월
28일, 두 번째
철수가 시작되었습니다. 미 해병의
철수는 다시 수송대 문제로 남쪽으로 철수하는데 3 일이
소요되었다. 마지막으로 4월
30일, 미 해병대는
좌측에 제5 미 해병연대, 중앙에
제1 국군 해병연대, 우측에
제1 미 해병연대를 배치하고 제7 미 해병연대는
예비대로 새로운 방어선에 주둔하였다. 4월 한
달 동안 미 해병대는 총 933명(93명 사망,
830명 부상, 10명 실종)의 피해가
있었다. 중공군은
일부 지역을 점령했지만 전반적으로 공격은 성과는 없었다. Dauntless 작전은
현 전선에서 종료되었지만 중공군들은 심각한 손실을 입었다. 중공군은
약 70,000 명을 잃었다. 중공군이
예상했던 UN군의 패주는 없었다. 반면에
대부분의 전선에서 중공군에 의해 침투된 지역은 신속히 봉쇄되어 항상 UN군의
방어선은 유지되었다. 4월 말까지
인민군 지도자들이 약속한 남한통일(May Day)을 자축하기
위한 서울에서의 가두행사는 불가하다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