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ation of The Massacre Valley Hoengsong for The Round-up Operation in February 1951. 1951년 2월, Round-up 작전 때 횡성 북방의 학살계곡(Massacre Valley) 탐방기
2023년 4월 12일(수) 아침 8시 30분, 간단하게 식사를 마치고 횡성으로 출발했다. 원래는 4월 10일 출발하려고 했으나 비가 내리는 것으로 예보가 되어 2틀을 미루어 출발하게 되었다.
On the morning of
April 12, 2023, at 8:30 am after a quick meal, I departed for Hwaengseong,
Gangwon-do, Korea. Originally planned for April 10, the departure was delayed
by two days due to forecasted rain.
이번 탐방의 목적은 미 2사단 21 지원대가
Round-up 작전 때 국군 8사단을 화력 지원하고자 파견되었다가 1951년 2월 11일 밤부터 개시된 중공군의 대 반격작전에 의해 국군 8사단이 진격했던 횡성지구(서원면 풍수원부터 공근면 삼마치까지)에서 패퇴하면서 후방 지원대의 퇴로가 차단된 상태에서 자력으로 철수하면서 피해가 크게 발생되었던 창봉리부터 학담리까지 계곡을 확인하는 것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exploration was to examine the area from Changbong-ni to Hakdam-ni, covering
the valleys where significant losses occurred during the Korean War,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region where the ROK 8th Division was totally
destroyed, and a service unit of the U.S. 2nd Infantry Division dispatched to
support artillery fire trying to breakout the encirclement greatly destroyed
during the Round-up Operation against the Chinese Counteroffensive in February
1951.
탐방의 단서가 될 수 있는 정보는 대전 Solbridge 대에서 재직했던 미국인 Jeffrey Miller의 전쟁소설 War Remains와 미군의 자료였다. 특히 Miller씨의 자료는 625 전쟁비화 중 알려지지 않은 사건과 생존한 재향군인을 기술하고 있어 큰 도움이 되었다.
12일은 지평리에서 횡성으로 동서간 37도 연결선 상의 6번 국도와 관련 풍수원성단과 초원리 분교, 학살의 계곡(Massacre Valley) 및 횡성 읍내의 31공원을 탐방하였고 13일은 섬강과 연한 승지봉 등 능선을 탐방하였다.
Round-up
작전은 625 동란 중 1951년 14후퇴 후 중공군의 공세에 평택까지 밀렸던 UN군이
Ridgway 장군 지휘하에 점진적으로 북진하여 38선을 수복하고 서울을 되 찾기 위한 것이었다. 당시 중공군 지휘부는 서부전선에서 화력이 우세한 미군에 맞서지 않고 중동부 전선의 국군을 대상으로 집중 공격하여 돌파를 한 후에 서부전선의 후방을 차단하는 의도를 갖고 가평에 있던 대규모 전력을 횡성지구로 이동 배치하여 대 공세를 감행하였다. 그런데 이곳에 미 10군단 휘하의 국군 8사단, 3사단, 5사단 및 미 2사단이 북진 작전 중이었다.
작전 상 특이한 점은 서부 전선과 달리 국군 사단이 공격을 주도하고 미군 사단은 분산하여 각 군 사단을 지원하는 전술을 Almond 군단장이 채택하고 있었다. 따라서 북위 37도선 상 지평리 우측에서부터 삼마치고개까지 국군 8사단의 작전을 위해 미 2사단 병력에서 차출하여 21지원대를 구성하여 파견하였고 직접 국군 사단장의 지휘통제를 받도록 하였다. 미 지원대는 부족한 국군의 화력을 보강하기 위해 미군의 전차, 수송 및 야포로 편성되어 전진하는 국군에 인접하여 있었다.
따라서 2월 11일 밤, 국군 8사단이 횡성 공근면 삼마치 고개 등에서 최초로 기습을 받았을 때 미 21지원대는 인접한 현 공근면 창봉리 시루봉 휴게소 남단 창봉리 마을회관과 창봉천 사이의 공터에 주둔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공터 사진 참조)
On the 12th, I
explored the 6th National Road on the 37th parallel, including Pungsuwon
Cathedral, a school in Joweon-ni, Massacre Valley, and the March 1 Park in
Hwaengseong. The following day, I ventured through the Seom River and gentle
peaks like Seungji-bong Peak along the river.
The Round-up Operation
aimed to recapture Seoul and the 38th parallel, pushing north after the January
4 Withdrawal when UN Forces retreated south to Pyeongtaek to regroup under
General Ridgway's command. At that time, the Chinese People's Liberation Army
Command, avoiding direct confrontation with the superior firepower of the U.S.
Forces on the western front, concentrated its attacks on the ROK Forces on the
central-eastern front. Their intention was to break through the ROK Front, then
move to the rear of the western front to block and annihilate it. To carry out
this plan, a substantial force previously stationed in Gapyeong was relocated
to the Hwaengseong Area for a major offensive.
However, at this
location, under the command of the U.S. 10th Corps, the ROK 8th, 3rd, and 5th
Divisions, along with the U.S. 2nd Division, were engaged in a northward
advance operation.
Noteworthy was the
tactic that ROK divisions leaded the attack, while U.S. divisions provided
decentralized fire support. The 2nd Infantry Division dispatched the 21st
Service Unit comprising of tanks, trucks and artilleries under the ROK Division
Commander to directly support the ROK 8th Division's Advance on the line of the
37th parallel from Chipyong-ni, Yongmun to Sammachi Pass.
The ROK 8th Division collapsed within couple of hours on the night of February 11 under a surprise attack by three Chinese Divisions. The communication was severed between the Commander of ROK *th Division in Hwaengseong and each regiments around Sammach Pass, and a stream of ROK Stragglers was extended to the 21st Supporting Unit on the midnight of February 12nd. The U.S. 21st Support Division was believed to have stationed itself in the vicinity of Changbong-ni.(refer to the photograph of the site remained
8사단은 중공군 군단 산하의 3개 사단의 기습 공격으로 2월 11일 밤에 수 시간만에 붕괴되어 횡성읍에 있던 사단장과 삼마치 등 작전 중인 각 연대와 통신이 두절되었고 2월 12일 자정이 넘어서 새벽에 패잔병들이 미 21지원대를 통과하여 패주하고 있었다. 미군은 패주하는 국군을 막아서서 진지를 보강하고자 애를 쓰면서 동시에 국군과 통신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미 2사단장 및 10군단 포병 지휘대에 상황을 보고하고 철수를 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복잡한 보고체계에 따른 명령 하달의 지연에 따라 새벽 3시가 되어서야 철수 명령이 떨어져 미군들은 철수를 하고자 하였고 이미 사방에서 중공군의 박격포 포격과 함께 각개 침투해오는 중공군 사격이 치열하였다.
전차 2대와 보병중대를 선도로 남측으로 현 5번 국도를 따라 후퇴를 시작했으나 4.5 Km 남측 현 공근중학교 근처 동면입구 교차로에 있던 초딩교와 인근 능선에서 중공군이 강력한 3면 저지선을 구축하고 기습하는 바람에 미군 전차는 모두 파괴당하고 후퇴는 저지되었으며 도로를 따라 차단된 상태로 계속적으로 공격을 당해야 했다. (초딩교 사진 참조)
Leading with two tanks
and an infantry company, the withdrawal began southward along the current 5th
National Road. However, approximately 4.5 kilometers to the south, near the
Dongmyeon entrance intersection close to the present Gongeun Middle School, the
Chinese forces established a formidable three-sided defensive line on the
adjacent ridgeline. Due to this strong round-up position, all U.S. tanks were
destroyed, and the retreat was thwarted. The troops had to endure continuous
attacks on the rear road. (Refer to the photo of the Choding Bridge near
Dongmyeon Intersection.)
미 21지원대는 날이 밝으면서 가까스로 초딩교를 통과해서 3Km 남쪽 현 신촌IC근처 미 38연대 소속의 대대가 배치된 지역에 도달할 수 있었으나 횡성읍까지 또 다시 중공군이 현 학곡2리 마을회관부터 학곡IC까지 산악지대를 통과하는 도로를 차단하고 탈출로 상에 매복 공격을 준비하고 있었다.
12일 주간에 미 보병 대대는 항공포격의 지원속에 도로 좌 우편에 대한 공격을 실시하였으나 실패로 돌아갔으며 훗날에 이 6번 도로가 지나단 계곡이 학살의 계곡(Massacre Valley)으로 불리게 되었으며 비극적 장소가 되고 말았다. 이 처참한 현장은 사건 1달 뒤 Killer 작전을 수행하며 홍천으로 진격하던 미 해병대에 의해 생생하게 목격되었다.
당시 참전했다 생존한 한 미군이 먼저 숨져간 동료들을 추도하고자 식수한 나무가 초딩교 근처 도새울 공원에 서있다. (추도 나무 및 현판 사진 참조)
As the dawn was brightened, the U.S. Support Unit managed to barely
pass through the Dongmyeon Intersection. They reached an area approximately 3
kilometers south near the current Sinchon IC, where a battalion belonging to
the U.S. 38th regiment was stationed. However, the path to Hwaengseong was once
again blocked by the Chinese forces. From the Haggok-ni 2 village to the Haggok
IC, Chinese had set up an ambush in the mountainous terrain, blocking the road
that traversed through the valley. The Chinese was positioned at a point where
crossfire could be executed on the escape route. Despite continuous attacks of
the battalion under air fire support on daytime, the U.S. Support Unit failed
to break through the Chinese encirclement, creating an ambush point in the
mountainous valley, later tragically called "Massacre Valley." This
tragic event was vividly witnessed by U.S. Marines during the subsequent Killer
Operation a month later.
A surviving American Veteran commemorating his fallen comrades planted the memorial tree standing in the Dosaeul Park near the Choding Bridge. (Refer to the tree for memory of the fallen comrades, and to the sign board)
이번 탐방에서 횡성 학살의 계곡과 연관된 방문지로는 37도 선상의 횡성군 서원면 풍수원성당이 있으며 여기 한 천주교 신자인 미군이 작전 중 들러서 목숨을 구하는 기도를 드렸고 그가 훗날 살아서 귀국한 것을 기념하여 성모 마리아 상을 기증하여 설치된 곳으로 알려졌다. (성당 및 유래 사진 참조)
In this exploration, a notable site associated with the Hwaengseong
Massacre is the Pungsuwon Cathedral in Seowon-myeon, Hwaengseong, located on
the 37th parallel. It is known that during this visit, a U.S. soldier who was
Catholic stopped by this site during military operation to pray for his life
and later, in commemoration of his safe return, donated to install a Statue of
the Virgin Mary. This story is documented in the cathedral along with
historical photographs for reference. (Refer to the photograph of the cathedral
and introduction board)
37도 선상의 6번 국도 상 신촌 IC에 인접하여 횡성군 초원리에 횡성 전투 시 국군 8사단 한 연대본부로 쓰였던 현재 폐쇄된 공덕초등학교 광덕분교가 있다. (학교 및 현판 사진 참조)
Adjacent to the Sinchon IC of National Route 6 on the 37th
Parallel, there is the closed Gwangdeok Elementary School in Choweon-ni,
Hwaengseong. This school, which is currently closed, was once used as the
headquarters for the 8th ROK Division during the Hwaengseong Battle. (Refer to
school and signboard photos.)
횡성 읍내에는 필사적으로 탈출하던 국군과 미 21 지원대를 구출하고자 읍내 낮은 능선상에 진지를 구축하였던 미 2사단 소곡의 화란군 대대가 있었고 횡성 군청 뒤 31공원에 대대장 오우덴 중령의 충혼비가 설치되어 있다. (충혼비 및 비분 사진 참조)
In the Center of
Hwaengseong Downtown, a Dutch Battalion was strategically established its
positions on the low ridges of the area to rescue the ROK Army and the U.S.
21st Support Unit desperately trying to escape. Behind the Hwaengseong County
Office, in March 1st Park, the memorial dedicated to Lieutenant Colonel Owen,
the battalion commander, is installed. (Refer to the memorial and monument
photos.)
횡성읍으로부터 북측으로 섬강(625 당시 뒷냇물강)에 연하여 승지봉 등 능선이 있는데 여기는 횡성 전투 후 1달 후에 원주에서 홍천으로 진격하던 미 해병대가 저항하던 중공군과 치열하게 전투를 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승지봉 및 산행 입구 운암정 사진 참조)
North of Hwaengseong,
there are ridges including Seunggji Peak along the Seom River (referred to as
the Behind River at the time), which was a battleground. Approximately one
month after the Hwaengseong Battle, the U.S. Marine Corps advancing from Wonju to
Hongcheon engaged in fierce combat with the entrenched Chinese Forces in this
area. (Refer to photos of Seunggji Peak and the entrance to the mountain trail
at Unam-jeong Teample.)
이번 탐방을 마치면서 뜻을 같이 해 준 집사람에게 감사하며 반 기독교적이고 유물론적 사상에 빠진 공산주의의 침략으로부터 자유 대한민국을 지켜 우리와 우리의 후대가 자유롭게 하나님의 뜻을 따르며 평화와 평안을 누리게 해 주신 것에 대하여 지금은 대부분 천국에 계실 90대 부모님 세대의 호국 장병과 우방의 공산주의의 침략에 같이 맞서고자 바다건너 이억만리 달려와 목숨을 바친 파란 눈의 미군과 극적으로 살아남은 재향 미군에게 새삼스러운 감사를 표하고자 한다. 이번 횡성의 한 계곡을 방문하다가 내 60 평생 잊힐 뻔했던 다음과 같은 횡성군민 위령비와 비문이 선명하게 마음속에 들어온다. (계곡에 서있는 Massacre Valley 위령비 비문 참조)
As we conclude this exploration, I want to express my gratitude to
my wife who shared this journey with me. I reflect on the sacrifices made by
the patriotic soldiers of the 90s of my parental generation most of whom are
now in heaven, who defended our freedom, democracy, and the Republic of Korea
from the invasion of communism. I especially extend my heartfelt thanks to the
blue-eyed soldiers fallen here or luckily survived as a veteran of the U.S. Forces
who crossed oceans and thousands of miles to stand with alliance against the
aggression of communism, allowing us and our descendants to live in peace and
freedom, following God's will.
During my visit to a valley in Hwaengseong, the solemn memorial and
its poignant inscription dedicated to the fallen soldiers who sacrificed
themselves here in the atrocities vividly come to my mind. It serves as a
powerful reminder that could easily have been forgotten in my 60 years of life.
(Refer to the photo of the memorial above the valley of the massacre.)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