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5월 22일, 5월 12일 및 4월 29일 벨기에 대대 후퇴작전로 탐방 Exploration on Ulster Crossing battle place in 22 May, 12 May and 29 April 2018.


내가 영국군이 전멸한 고지(Gloster Hill)에 대하여 관심을 갖게 된 것은 2004.4월 설마리 계곡근처를 지나다가 우연하게도 영국 재향군인들이 그들의 동료에 대한 추모식을 개최하고 있는 장면을 본 뒤부터였다. I have got interested in Gloster Hill where British soldiers were completely destroyed in the valley of Solma-ri in Apr. 1951 since I saw, by chance, the memorial ceremony in which the British veterans participated.
왜 이 노인들이 멀리 바다건너 한국까지 와서 추도식을 갖는가라는 의문점이
생기면서 관련 서적과 정보를 찾기 시작했다. I had questions why these old veterans crossed the ocean from UK to Korea for their memorial ceremony and started to collect the information and books about the Gloster Hill and Imjin battles.
그리고 2005.4 다음 해 추도식에서 한 영국군(Bainbridge)의 유골이 적성의 중성산 고지(그로스터 대대 A중대가 젙투하다 전멸된 고지)에 생존한 동료에 의해 뿌려지는 장면을 목격하였고 미8군 군악대와 인근 군부대의 지원하에 정중하게 예식이 진행되는 것을 매년 목격하게 되었다. Next year in Apr. 2005, I observed a British comrade scattering the bone powder of the passed British veteran of Bainbridge over top of the Jungseong mountain where the A Company Gloster Battalion fought and were overrun and I also saw the ceremony was proceeded courteously in collaboration of the 8th Army Band and nearby Korean Military Unit.

1951.4 중공군 춘계 대공세 때 미 제1군단 휘하에 임진강을 방어하던 영국군 제29여단은 좌측
에 국군 제1사단 우측에 미군 제3사단을 두고 가장 중요한 길목을 지키고 있었다. The most
important route was protected by the Ist US Army Corp placing the British Brigade 29 on the center, the ROK Ist Army Division on the left and the 3rd US Army Division on the right during the Chinese Spring Offensive in April 1951. 이 때 중공군 수뇌부는 대거 중공으로부터 병력을 보충받아 27만의 중공군과 3.5만의 북한군으로 편성한 후 압도적 병력으로 미 제1군단을 공격하였다. At those time, Chinese Liberation Army Authority had been supplemented with the 270,000 Chinese replacements and remaining 35,000 North Koreans to initiate the big scale of military offensive. 특히 영군군 여단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병력을 투입하여 인해전술(1:10)로 일거에 무너뜨리고 중동부 전선까지 전체 UN군을 괴멸하고자 의도하였다. They intended to focus their human wave forces into the British Brigade to outnumber them, at a ratio of ten to one, and to destroy all UN forces in the other fronts. 

맥아더장군 후임으로 18951.2 부임한 리지웨이장군은 전 전선에서 중공군의 후방에 대한 침투를 막고 최대한 피해를 가하기 위해 공격을 받으면 지연전을 펼치다 후퇴를 하되 적이 노출될 수 있는 지형에 전선을 구축하여 즉시 반격할 수 있도록 휘하의 지휘관에게 요구하였다. General Ridgway being replaced with General MacArthur during Feb. 1951 asked following commanders under his command, with purpose of preventing Chinese infiltration and maximizing Chinese damage, to resist as possible as they can when
attacked, to retreat to the front line where Chinese had to expose themselves for immediate counter attack 

이것은 중공군의 보급상 취약점을 간파한 뒤 중공군이 공세를 취하면 3일 정도 제한적으로 전선을 후퇴시킨 뒤 4일차에 대규모 공격으로 전환하면서 살상을 극대화하는 작전을
펴고자 했었다. 결국 중공군 춘계 대공세 때 서부전선에서 끝까지 진지를 고수한 Gloster 대대 희생과 영국군 제29여단의 축차적 후퇴에 힘입어 UN군은 서울을 다시 뺏기지 않고 전체적인 전선을 북상시킬 수 있게 되었다. This tactic was designed, after identifying Chinese logistic weakness, to retreat gradually for 3 day when attacked and to initiate a counter attack on the fourth day for maximum Chinese bleeding
Eventually, Sacrifice of Gloster Battalion standing, to the last round, on their fortress and the British Brigade 29’s fighting retreat preserved Seoul and forwarded the front line northward. 

제1차 탐방 The 1st Exploration

2018.4.29 나와 집사람은 평소 고대하던 작전지역을 탐방하기로 결정하고 출발하였다. I and my wife had wished to explore the battle place and kicked off to visit there on the date of 29 Apr. 2018. 적성과 연천을 동서로 연결하는 도로상에 도강지점으로 연결된 접근로가 없어 어떻게 접근하는가가 문제였다. The main issue was how to identify the road or trail leading to the point because there was no outstanding road on the present motorway between Jeokseong Gloster hill and Yeoncheon beneath the Imjin river.
사전에 구글어쓰를 통해 작전지역을 살펴 보니 최소한 자동차 도로로부터 도보로 접근할 수
있다 생각하였다. Before I started, I had surveyed to identify on the Google Earth. If surveyed, I could find a trail to get there at least on foot.
포천 구리간 고속도로를 타고 소흘분기점에서 양주방향으로 주행하였다. I took the highway for Pocheon and took the road for Yangju IC at Soheul junction. 교통체증없이 직선도로로 주행하는 것은 아주 양호하였다. 양주에서 3번 국도를 타고 한탄강과 접하는 연천으로 이동하였다. It was great to drive, without traffic jam, on a short cut route. From Yangju IC, I took the road 3 bounding for Yeoncheon where Hantan river was met with Imjin river.

한탄강 유원지를 잠간 들러 강변을 걸었는데 전에 도강지점을 찾기 위해 건넜던 조그만한 다리를 볼 수 있었다. I dropped by the Hantan river resort to stroll along the river bottom and could see the small bridge which was used before to challenge identifying a route for the same Ulster Crossing.
1951.4 한 영국국 기갑정찰대가 전멸한 사건을 앤드류 새먼이 쓴 마자막 한발 책자에서 아래와 같이 인용하였다.  Let me describe briefly below about the incident of Royal Ulster Battle Patrol Unit wiped out in April. 1951, referring to the book, to the last round, written by Andrew Salmon.
“1951.4.22 저녁 19:40 영국군 여단의 예비대인 현재 375번 국도 상(당시 11번 도로)의 라이플 부대에 비상대기 명령이 떨어졌다. At 19:40 on 22 April 1951, the Rifle, in brigade reserve down Route 11(present the road 375), was ordered to stand by.  특별히 부대의 기갑정찰대에게는 30분 대기가 하달되었다. Specially, the Battle Patrol, in their armoured Oxford carriers, the battalion’s most mobile unit, were put on a half an hour’s notice. 50명으로 구성된 부대는 장갑차 옆에서 대기하면서 전투지역으로 명령을 기다리고 있었다. Its fifty odd men were resting by their vehicles, waiting for the order that would pitch them into combat. 자정에 당직사관이 텐트로 들어 오면서 작전이 시작되었다 하였다. One minute before midnight, the duty officer entered the tent with the news that offensive had begun. 정찰대는 즉각 벨기에군이 건너야 할 도강지점으로 이동하여 퇴로를 확보하도록 명령되었다. The Battle Patrol was moved up immediately to secure the bridges leading to Belgian at Ulster Crossing. 이들은 적을 무찌르면서 도강지점을 접수하여 벨기에군을 지원하는 것이었다. The 50 odd men were to fight their way over the bridges and reinforce the Belgians.  장갑차는 한탄강 남쪽에 시동을 끄지 않고 정차하였다. The vehicles halted on the south side of Ulster Crossing, engines idling. 강변 주위는 캄캄하였다. All was dark across the river. 적이 매복하였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방법이 없었다. It looked fish but there was no choice. 부대 장갑차는 부교를 털털거리면서 조심스럽게 건넜다. The men peered warily over the armoured sides of leading vehicles as they clattered across the pontoon. 그들이 맞은편 강뚝에 다다랐을 때는 이미 주변은 캄캄해져 버렸다. They were trundling up the flood plain of on the far bank when the blackness exploded around them. 차량한대가 갑자기 로케트탄에 맞아 번쩍였다. One carrier suddenly flared up with hitting rocket. 그리고 부대는 적의 포위사격 지점으로 들어 오고 말았다. Then the patrol had driven into the kill zone of an ambush.  벨기에 주둔지역으로 중공군 침투조가 침투하여 남쪽으로 이동하고 있었다. Having infiltrated around Belgians, the Chinese shock force had crossed the river and was pressing south. 부대장은 20명 정도 부대원들에게 자기가 몇몇 부대원과 엄호사격을 할 테니 강건너 후퇴하라 명하였다. The patrol commander ordered to retreat across the river on foot with about twenty men while he covered the movement with a small his group. 부대장은 죽음을 각오하고 부대원을 구출하고자 결심하였다. The commander was condemning himself to death for his unit breaking out. 20명정도 부대원이 강을 건너 남쪽 강뚝에 저지선을 구축했을 때 북쪽의 강뚝에서 총소리와 중공군의 함성을 들었고 잠시 후 조용해졌기에 부대장과 엄호조는 모두 전멸하였다 생각했다. The Rifle twenty men crossed the river and took up covering positions on the south bank. On the north bank, they heard the clatter of weapons and yelling Chinese words. Then silence, the commander rearguard had been overrun. 02:15에 한대의 장갑차가 라이플 부대 본부에 도착하여 50명과 11명의 공병대원 중 27인만 구환할 수 있었다 전하였다. At 02:15, a single Oxford pulled up to the Rifle’s battalion HQ, bearing new of the patrol’s fate. Of it 50 members and about a dozen sappers, only 27 made it back.”
벨기에 부대의 임무는 미 제3사단의 연천과 동두천간 퇴로를 확보하는데 있었다. The main mission of the Belgian battalion was to protect the retreating route of US 3rd division from Yoncheon toward Dongducheon. 제3사단이 후퇴를 하였기에 벨기에군이 보호하는 두강의 합수점은 이제 불필요하게 되었다. As the 3rd division had withdrawn, the hinge point protected by the Belgian was redundant. 남은 것은 어떻게 합수지점의 벨기에 군을 구출하는 것 이었다. The question was now how to extricate them for the hinge formed by the rivers. 지역을 관제하는 257 고지에 대한 1개 미군 보병대대에 의한 위장공격과 탱크의 지원을 받는 미군 보병중대의 엄호하에 벨기에군이 도강하는 것이었다. A US battalion diversionary attacked the observing hill 257, the Belgian could cross the river while another US infantry company, supported by two tank platoons, was shooting.
벨기에군은 작전대로 탈출하여야 했다. The Belgian had to fight their way as planned. 그들의 무장한 2개 짚차와 1개분대가 북쪽 다리에서 후퇴를 엄호하는 명을 받았고 본대가 도강하면 그들은 철수하는 것이었다. One squad, with two armed jeeps, was missioned to hold the blocking position near the bridge on the north bank. They could close the position when main force was across.

벨기에군은 성공적으로 합수지점에서 철수하였고 미군에 의해 후방으로 수송되었다. The Belgian successfully retreated from the hinge point and transported by USA trucks to the rear position. 벨기에군이 주둔했던 마전리 고지는 미군에 의해 야포와 네이팜탄 공격을 받았다.  The former Belgian hill 194 was heavily bombarded by American artilleries and air strikes with napalms. 중공군 코 앞에서 도강작전은 전멸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었는데 신속하게 유기적으로 작전을 진행하여 성공할 수 있었다. The river crossing could have been disaster but, in terms of speed and coordination, had been a textbook operation under nose of Chinese. 작전은 2018.4.22 밤 22:00에 종료되었다. They completed their mission at 22:00 in the 22nd April 2018.
나와 집사람은 이 합수지점을 가기 위해 남쪽으로 375번 국도가 있는 지점근처의 비포장 도로를 발견하고 걸어 갔는데 산길로 1시간 정도 소요되어 도착했다. I and my wife identified the unpaved small road northward near the road 375 and went to go to the Ulster crossing point for one hour. 가는 중간에 한 부부가 SUV차량으로 두릎나물을 캐러 왔다가 돌아가는 길에 우리를 합수지점까지 태워 주웠다. On the way of the point, we happened to hitch hike s SUV driven by a couple returning back after wild herb collecting for our destination. 그러나 내리막길이기는 하나 산길에 비 포장 도로였기에 걷는 속도로 운전하였다. However, the road was unpaved and stretched down so it moved very slowly like walking. 합수지점은 조그만한 공원으로 조성되어 있었는데 임진강과 주변의 다리를 조망할 수 있었다. We could watch out the Imjin river and bridges from the crossing point it had been a park. 나중에 알게 되었지만 우리가 접근하는 길은 오르막길이고 멀어서 임진강 남쪽 뚝근처 길을 따라 어유지리러 연결되는 길을 이용하여 사람들이 접근하고 있었다. Later, I have known, the access route, we took, was too long and upward trail so that people usually took the opposite road along the river to Eoyuji-ri.  차량 때문에 다시 오던 길로 되돌아 가게 되었는데 30분쯤 걸어 올라 가니 산나물을 한 주머니 메고 올라오는 두 사람과 주변의 차량을 발견하였고 태워 달라 부탁했으나 가는 방향이 반대였기에 불가하였다. Due to collecting my car, we had to return back on the same road and walked for 30 minutes. I found a two men carrying luck sacks, on their bag, full of herbs and asked a favor to ride us. But, we were rejected due to the road different from their choice. 우리는 계속 걸어서 거의 차를 세워 놓은 큰 길가에 접근하고 있었는데 주택이 몇 채 보이더니 이내 개들이 짖고 특히 앞 측에 송아지만한 크고 검은 개가 풀어져 있는 상태로 길을 막고 서 있었다. While we were almost approaching the main road where my car had been parked, seeing a couple of houses, I heard dog’s barking and found a big black dog, as huge as a cow, released from and stood up to block the road.  내 손에는 묵직한 막대기를 쥐고 있었으나(처음 길로 들어 섰을 때 개들이 짖어서 산길을 걷다가 호신용으로 묵직한 나뭇가지를 주어 휴대함) 걔가 너무 크고 주둥아리가 도사견과 닮아 위협하지 못하고 후퇴하여 위쪽에 위치한 집의 주인 아주머니에게 집 근처로 우회할 수 없는가 물었으나 우회도로는 없고 산속이어서 저녁시간에는 맷돼지가 출몰할 수 있다 하였다. I couldn’t forward because the dog was too big and too horrified even though I kept holding a thick rod(for protection as dogs barking had been heard, a tree branch was collected on the way of trailing). The house lord of woman, located upward, told there was detouring road to avoid the dog and there was possible for wild pigs to appear in the trail when I asked her of any detouring over her house. 집사람은 하도 무서워서 돈을 줄 테니 차로 태워 줄 수 없는가 물어보려고 할 때 그 사람이 보기에 딱하였는지 자기가 데려다 준다 하였다. My wife was too terrified that she thought to offer some money for our safe riding. The woman might think we were too helpless that she guided us to pass the dog. 내가 쥐고 잇던 막대기는 놓고 가자고 하여 놓고 조심스럽게 걸어 나갔다. As I was asked to throw the rod away by her, she and us carefully moved forward and :Go away.. and go away” said she, the dog strangely pulled back. 이 때 이 개가 접근하여 오자 “저리가…저리 가” 하였고 개가 되돌아 갔다. 아주머니 덕분에 무사히 차량으로 돌아 왔는데 이렇게 큰 개를 풀어 놓은 주인은 분명히 위법을 한 것이었다. Thanks to her, we could safely be back to our car. However, the lord of the dog is surely asked to know his legal breach to release his dog publicly.

제2차 탐방 The 2nd Exploration

2018.4.9 탐방 시 벨기에군 도강지점(한탕강 남단 강뚝) 까지 접근하지 못하였고 이 실패의 원인이 연천 적성간 47번 도로상에서 목적지(옛날 도감포 나루터)까지 옛길을 잘 못 찾아서 엉뚱한 산길로 들어서서 도착한 바람에 도강지점과는 산허리 하나만큼 차이가 생겨 결국 통일훈련원 후문과 임진강 한탕강 합수지점 공원에 잘못 이르렀다. I could not arrive the Ulster Crossing Point on the date of 9 April 2018 due to losing the way in confusion of wrong path linked with the road 47. The discrepancy between the actual point and the targeted Crossing Point is the distance of one mountain ridge so I and my wife were wrongly arrived in the rear gate of Unification Training Center and Rivers Band Park.  그래서 벼르다가 2018.4.12 09:30 집에서 도시락을 준비하여 집사람과 다시 벨기에군 도강지점 탐방에 도전하였다. 이번에는 구글어스를 보면서 지난 번 접근했던 경로를 추적하면서 특히 도로로부터 연결되는 연결지점의 지형을 확인하였다. 구글어스로 지형을 확인한 후 도로명이나 시설명을 확인하는데는 네이버 지도가 도움이 되었다. I was challenging to locate the crossing point after surveying on the Google Earth on the date of 12 April 2018. I kicked off to explore the Crossing Point at 09:30 with a lunch box. The map of Naver was useful to get the road information.

강변북로를 타고 가다가 구리 포천간 고속도로로 진입하여 소흘분기점에서 양주IC(신양주, 덕정) 방향으로 주행하였다. I was driving on the Han Riverside Road and keep going to Yangju IC after taking the Motor Way of Kuri & Pocheon. 양주IC를 나와서 동두천 의정부간 자동차 전용도로를 타고 연천방향으로 주행하였고 동두천 IC에서 동두천 시청(연천방향)방향으로 주행하다 연천가는 3번 국도를 타고 한탄강이 휘감고 가는 전곡리 선사유적지에 도달하였다. As soon as I lamped out of the Yangju IC, I took the Motor way of Dongducheon & Euijeongbu for Dongducheon bound. I drove out of Dongducheon IC to bound for City Hall (Yoncheon), soon took the Road 3 and arrived the Relic Site in Jeongok. 그러나 한탄강 남쪽에서 적성으로 가는 도로가 폐쇄되어 있어 선사유적지를 한바퀴 돌아 강을 건너 47번 국도를 탈 수 있었고 적성방향으로 가다 어유지리 삼거리(여기서는 1951.4 임진강 전투에서 영국군이 후퇴한 당시 11번 도로인 375번 도로가 남측으로 연결된다) 못 미쳐 어제 저녁에 구글어스로 살펴 본 도강지점으로 분기되는 소로를 찾고자 양원천 근처에 차를 멈추고 다시 주변을 확인하였다. The road from the south of Hanta River Resort to Jeokseong was, but, blocked and I had to detour the this river band to take the Road 47. I arrived near Yangwon creek around Eoyuji-ri cross road to search for the path for the Ulster Crossing I had studied on Google Earth.

도로변에 군 훈련장으로 보이는 시설이 있고 출입금지 표식이 붙어 있었는데 LPG충전소에서 내려가는 도로로 판단하고 주행하니 지도에서 확인한 데로 계속 길이 이어지고 도강지점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There were military training facility with its signage and a LPG station along the road. I could identify the path stretched down by the gas station. 그러나 1km주행해 내려가니 영원1교라는 조그만한 다리가 나오면서 1차선 비포장 도로가 끝나 버렸고 앞측에는 대상건설의 건축현장 가설사무실이 설치되어 있었고 좀더 도강지점 방향으로 나아가 보니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군막사와 각개전투장 같은 훈련시설이 양원천 계곡사이로 설치되어 있었다. For one kilometer drive, I arrived at Yangwon bridge to which the unpaved one lane road was ended and I found the contractor office of Daesang Construction. I walked a little farther from my car and watched over military barrack and training trenches. 비가 내려서 더 이상은 걷지 목하고 돌아서야 했다. It was raining so I could not walk ahead. 여기서 500 m만 더 가면 바로 도강지점이 될 것이다. If I would be 500 meters ahead, that could be the point of Crossing. 그러나 찾고자 했던 벨기에군 도강지점을 확인할 수 있었고 영국군 정찰대(Battle Patrol Unit) 장갑차 10대가 60여명의 병력을 태우고 1951.4.22 저녁에 이동한 경로를 탐방하는데 성과가 있었다. I was pleased to identify the Belgium Crossing Point and its retreat route(The Battle Patrol Unit, comprising of 10 Oxford Carriers with 60 troopers, Route too late evening in 22 April 2018)

영원1교에 주차한 차 안에서 집사람과 준비한 도시락으로 점심을 먹고 다시 지난번 1시간 이상산길로 걸어서 도착했던 합수공원과 도강지점 맞은편(한탄강 북단 강뚝)을 탐방 하였다. After having lunch with a lunch box, I and my wife decided to keep exploring the opposite site of the River Crossing and Hantan & Imjin Rivers Confluence Park, the north side of Hantan River. 합수공원은 당시 375번 도로에서 산길이 멀고 험하며 개들을 풀어 놓아 고생했던 경험이 있어서 이번에는 반대로 오유지리측에서 강변의 소로를 이용하여 접근하였다. I approached toward the park in different path from Eoyuji-ri as we had experienced, in the previous path, last tome to be threatened by a big black dong released without strain. 소로는 1차선이지만 부분적으로 포장이 되어 있어서 운전이 용이했고 강변에서 약간 산길로 경사를 타고 올라 갔으나 천천히 주행하여 탱크저지시설을 지나 합수공원에 도착하였다. Though the path was one lane and unpaved, I could drove up carefully, passing by a tank resistance facility, to arrive the park.

합수공원 탐방하고 난 후 다시 오던 길로 되돌아 나와 어유지리에서 37번 자동차도로를 타고 연찬방향으로 주행하다 남계리 근처에서 lamp를 빠져 나와 벨기에군이 도강한 한탄강 북단을 향하였다. After exploring the park, I turned back to the road and took the road 37 at Eoyuji-ri to lamp out of Namgae-ri for bounding for the north point of River Crossing through which Belgian forces crossed the river. 2 km를 주행하니 임진강과 한탄강이 합수하는 지점에 이르러 강변으로 내려가는 길목에 도감포라는 이정표를 보고 내려가 차를 세웠다. For 2 kilometers of drive, I checked the sign post of Dogam-po installed at the point leading to the river plain. 그리고 강변으로 걸어 내려가 강건너 보이는 양원천 합류지점과 도강지점 남단을 확인하였다. I walked down to the river plain and observed the Yangwon Creek outlet and South Point of Crossing on the north side of the river.

강변에 서서 1951.4.22일 밤에 매복한 중공군에 의해 바로 여기서 영국군 장갑차가 기습을 당하였고 병력을 탈출시키고자 정찰대장이 자원해서 강변에 남아 저항을 하다가 전멸되는 상황 그리고 강을 건너 탈출하다 중공군의 기습으로 부상한 전우를 구하고자 강으로 뛰어든 병사 등 상상을 하였다. I stood up and thought of the battle situation in the night of 22 April 1951 “ The Battle Patrol Unit was ambushed exactly here on that night and the commander of the Patrol was voluntarily remained to cover his survived troopers and died by surrounding Chinese. The breaking out British were shoot after crossing the river and a trooper jumped, into the dark river, to save his comrade in a blacked cold night.”  율포리에서 임진강변의 산맥을 따라 참호를 구축하고 있던 영국군 Fusilier X 중대와 현재 임진강을 건너는 삼화교가 있는 삼화리에서 진지를 구축하고 있던 Z대대 그리고 강건너 마전리에서 주둔한 벨기에 대대가 본격적으로 기습을 받기도 전에 중공군은 벌써 영국군 후방으로 침투하여 벨기에군 후퇴에 필수적인 도강지점을 점령하고 병력을 계속 남진시키고 있었던 것이다. The Chinese Shocking Force had already infiltrated, between the resistance lines of Belgium, to the rear of British Head Quarter and British as the Fusilier X stationed along the mountain ridge, by Imjin river, from Yulpo-ri and Fusilier X stationed at the Hill in Samhwa-ri just before current Samhwa bridge and Belgium stationed in Majeon-ro locating north side of river. 여단 죄측의 Gloster 대대와 중앙의 Fusilier X 중대는 중공군의 대규모 도강 공격을 받았으나 이러한 후방 침투조에 의해 마전리와 후방 11번 병참로(현 375번 도로)를 관제할 수 있는 마포리 257고지를 지키고 있던 Fusilier Z 중대, 대대 후방 적암리의 포병대, 대대본부 및 도강지점으로 북상한 영군군 정찰대(Battle Patrol Unit of Royal Ulster Rifle)가 일거에 전 전선에 걸쳐서 기습을 당하였고 이 상황에서 예비대로 동원할 병력과 시간도 없었다. The Gloster Battalion on the left of the Brigade and Fusilier X on the cer of the Brigade were simultaneously attacked and outnumbered by crossing Chinese forces, but these Chinese shocking force attacked, at the rear, Fusilier Z staying the Hill 257, in Mapo-ri, observing Majeon-ri beyond the river, the main supply line of Road 11(present Road 375), British artilleries in Jeokam-ri, the Battle Patrol Unit of Royal Ulster Rifle rapidly dispatched the river crossing point so British commander had no reserving troops and rescuing time.   
주상전리가 한탄강 남단으로 형성되어 절벽을 이루고 있으나 이 대교사이의 도강지점은 예외였고 특히 어유지리측은 옛부터 도감포라는 나루가 형성된 이유를 알 것 같았다. The distance between the bridges of Biryong and Samhwa are good to cross because there are no cliffs along the southern river bank, and Crossing Point was old ferry Dogam-po specially. 

도강지점을 탐방한 후 다시 37번 국도를 타고 적성(가월교차로)으로 나와서 영국군 추모공원(Gloster Hill Monument)을 지나 당시 Gloster 대대의 후방 병참로였던 371번 도로를 타고 남면으로 남진하여 동두천 가는 364번 국도를 타고 신천 서편 동두천 교차로에서 의정부 동두천간 자동차도로를 타고 다시 양산 IC에서 구리 포천고속도로를 타고 집으로 17:30 돌아왔다. 이번 탐방은 총 8시간 소용되었고 205 km를 주행하였으나 포천 구리 고속도로 덕분에 비가 왔지만 이동시간은 불과 왕복 2시간 소요되어 많은 지역을 탐방할 수 있었다. After exploring the river crossing point, I and my wife was returning back with Road 37 for Jeokseong(Kawol-ri), passing by the Gloster Hill Memorial Park, driving omn the road 363 once the main supply line of the Gloster Battalion. At Dongducheon Cross, we took the Motor Way of Euijeongbu & Dongducheon and, at yangsan IC, we drove the Express Way of Pocheon & Kuri to arrive at 17:30. It took totally 8 hours to explore and drove the length of 205 km, I could expand my exploring with advantage of just two hours driving time even in heavy rains. 
 
제3차 탐방 The 3rd Exploration 

2018년 5월 22일 석가탄생일 공휴일을 맞아 날씨가 좋고 지난 주말 집사람이 집안일을 다 끝내 놓아서 쉽게 나와 같이 탐방하는데 동참하였다. On the sunny day and national holiday of Buddah birthday, in 22 May 2018, my wife was agreed to join me exploring the Ulster Crossing Point as she had done her household stuffs at the previous weekend. 점심도시락을 싸서 차를 타고 포천구리간 고속도로를 타고 양주 IC로 나와서 양주신도시 덕정역을 통과하여 56번 도로를 타고 은현면을 거쳐 39번 도로로 바꾸어 타고 남면을 통과하여 371번 도로를 타고 설마리(Gloster hill)를 통과 비룡대교를 거쳐 임진강 북단에서 우회전하여 마전리 방향으로 주행하였다. I carried a lunch box and drove on the express way of Pocheon & Kuri, lamped out of Yangju IC, passed by Deokjeong station in New Yangju City, drove on the road 56, passed by Eunhyon-myon, exchanged the road with the road 39, passed by Nam-myon, took the road 371, passed by Gloster Hill, crossed the bridge of Biryong(Flying dragon), made right turn at the north point of the bridge for Majeon-ri. 비룡대교와 마전리 삼화리 사이의 삼화대교 북단은 1951년 4월 22일 중공군이 춘계 대공세때 일시에 3만명이 도강을 시작한 지점이다. The distance between the bridge of Biryong and Samhwa on the north side of Imjin river was the place 30,000 Chinese Liberation Army soldiers rushed to the river for their grand attack of Spring in 22 April 1951. 

마전리와 동이리는 벨기에군이 임진강과 한탄강의 합수되며 분기되는 지점을 방어하기 위해 주둔했던 곳으로 벨기에군이 탈출했던 동이리 남단에서 임진강을 건너 남게리의 도감포 끝단 강변을 거쳐 한탄강을 건너 영국군 Battle Patrol Unit이 한탄강 남단에서 도강을 하여 대기 중 전멸한 북단 모래사장이 보이는 지점까지 둘러봤다. I have explored the misery point where British Battle Patrol Unit was destroyed. I also explored the route in which the Belgium battalion retreated to break out of Chinese surrounding from the southern area of Dongi-ri, the south tip of Dogam-po in Namgae-ri, river beach sand. Majeon-ri and Dongi-ri were placed by the Belgium force to protect the Imjin and Hantan River Bands.

다시 남계리 북단에서 적성 전곡간 자동차전용도로로 타고 은대리에서 3번 국도를 타고 남진하여 전곡리 선사유적지 및 한탄강 관광지를 거쳐 37번 국도를 타고 서진하였다. I took the motorway of Jeokseong & Jeongik at the lamp near north of Namgae-ri and drove southward, passing by Jeongok relic place and Hanta river resort, to take the road 37 westward.  어유지리 남단 아마니고개삼거리에 못 미쳐서 우측으로 GS LPG충전소가 있는 곳에서 옆으로 나있는 소로를 타고 주행하여 지난 4월 29일 주차했던 양원1교에 15:30경 도착하였다. I could took the side way of the gas station of GS LPG and arrived at the bridge 1 of Yangwon where I had parked before in 29 April 2018. 집사람은 차에 있었고 나는 양원천 뚝방을 따라 Royal Ulster Crossing 지점까지 걸었다. My wife kept staying in the car and I got out of the car to explore the Ulaster Crossing Point along with the Yangwon creek bank. 한 15분 걸어 임진강과 건너편 모래사장이 보이는 지점까지 도착하였으나 그 이상은 양원천이 흐르고 있어 접근하지 못하였다. I could arrive the point I could see the Imjin river and the sand beach beyond the river. I could not forward anymore because of the flowing creek. 그러나 이번에 1951년 4월 22일 저녁에 영국군 기갑 정찰대가 11번 도로(현재는 375번 도로)로 북상하여 현재 도강지점까지 이동하여 벨기에군의 후퇴로를 확보하고자 했던 작전경로는 확인할 수 있었다. I, however, could explore all the route of the Battle Patrol Unit who drove northward along the road 11(current road 375), moved to the river crossing point for securing Belgium force retreat.

도강지점 근처에서 강변너머를 바라보며 당시 한 밤중에 강뚝에서 매복했던 대규모 중공군(이들은 벨기에군과 영군군의 경비방을 뚫고 은밀히 1951년 4월 22일 전 사전 침투하여 영국군 29여단 후방을 교란하고자 했다 추정된다.)의 화망에 걸려 장갑차가 파괴되고 일부 병사는 후진하는 장갑차에 깔려 숨지고 일부는 남아 후퇴하는 병력을 엄호하다 전멸하는 정황을 기리었다. I stood at the crossing point and thought the moment when Battle Patrol Vehicles were destroyed with Chinese rocket fires, some troopers were placed to death beneath the reversing vehicles and some troopers remained to death to cover their breaking comrades. The Chinese succeeded to infiltrate between the resistance line of Belgium and British battalions for shocking rear part of British Brigade 29 in the previous day of 22 April 1951, D-day of Chinese Spring Oppensive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Exploration of Kum River Battle Place (Korean War) during April 20 to 21, 2025

The 5th & 7th Regiments, 1st U.S.Marine Division at Udam-ni near Chosin Reservoir, were ready to break out of Chinese Trap

The 1st US Marine Division in the Battle of Hwacheon 제1 미 해병사단의 화천지구 전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