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s

Introduction of The Book, East of Chosin

Today, I am going to introduce the book, East of Chosin, written by Roy Appleman. Let me take you back to the winter of 1950, 75 years ago, at this season, to a place called Changjin Reservoir in Kaema Highland, North Korea, where unyielding courage met deadly catastrophe. The book, East of Chosin, tells the harrowing story of the 31 st U.S. Army Regiment Combat Team trapped east of the reservoir during the Korean War. The name, Chosin is Changjin in Japanese, as U.S. troops were provided with Japanese maps in the war. While the First U.S. Marine Divisions’ breakout on the west side of reservoir is well known, Appleman wrote this book to shed light on the forgotten soldiers of Task Force Faith’s men who were surrounded by Chinese forces on the east side of reservoir, outnumbered, and left to fight in subzero temperatures with diminishing supplies. The author, Appleman, was driven by a sense of duty to honor those who had been overlooked and to correct the historical record of cou...

미 24사단 유성 금곡동 금강 및 세종 전의면 개미고개 전투지 (1950.7.9-12) 탐방

Image
  회사의 출장업무가 9 월 24 일부터 시작하여 30 일까지 시행되어 업무 끝나고 여가시간을 활용하여 인근한 금강전투지 중 미 24 사단 19 연대가 방어하던 대평리 ( 현 세종시 남단 ) 방어선의 가장 우측 끝지점인 금곡동 갑천과 금강의 합류점을 탐방하였다 . 이 지역은 낮은 구릉으로 이어진 산악지역인데 지난 7 월 탐방 시 시간이 없어 가지 못했던 지역이며 현재는 매립장과 쓰레기 처리시설 등이 들어서 있었다 . 1950 년 7 월 중순 당시 대평리 전선은 병력부족으로 세종시를 동서로 가르는 갑천 남안에서부터 시가지 동측의 개화산까지 진지를 구축하고 있었으나 미호강과 합류되는 합강정부터 남쪽으로 탄천이 합류되는 지점까지는 공백인 상태였다 . 탄천이 금강과 합류되는 지점에는 신탄진 철교가 국도 1 호선을 따라 위치하고 있어 한 개 중대가 배치되어 있었고 개화산까지 약 18 Km 의 굽이진 강이 놓여있었으나 북한군은 바로 이 취약한 지점을 이용하여 은밀하게 도강을 하여 개화산의 대대 저지선을 돌파하여 세종시 남단으로 이동 서쪽의 방어대대 및 연대 지휘부와 후방 포대를 공격하였다 . 금곡동 방어선에 있던 중대는 중공군의 공격을 받지 않은 상태로 경계 중에 있다가 공주와 세종의 전선이 뚫려 포위가 시작되었을 때 후퇴명령이 떨어져 도강한 북한군의 공격에 고전하던 개화산 중대전선에 합류하여 전투에 참여하며 용수천을 따라 남세종 IC 를 지나 남단으로 연결되는 유성으로 후퇴하였다 . 방어선의 가장 서측인 중근봉 북단 산자락 아래 금강을 통하여 북한군이 대거 도강할 수 있었기에 산악지대를 통과하여 연대 지원포대가 있는 용담리와 두만리 일...